[설명왕_테이버] 인플레이션의 시대 돈은 더 푼다

2023. 7. 12. 19:49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금리를 인상함.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경기의 3요소.

1. 기업(투자, 고용)

소비가 버블이 생기면서 실물 경제에 버블이 생기면?

2. 정부(통화정책 : 고금리 등)

그런데 소비가 박살 나지 않도록 완만하게 줄여야 함.(연착륙)

 

[그림]

금리가 높아서 박살이 나면? 지원을 하면서 돈을 풂.(인프라 투자 등)

금리 인하에는 도움이 안 됨.

'고금리'로 시장이 힘들어하면? 소비자도 힘들어짐.

그러면 소비자에게 복지, 보조금, 일자리 창출로 바로 지원해 줄 수 있음.

(기업이 줄인 투자만큼)

그리고 바이든 정부(민주당)에서는 기업에 바로 지원금을 줄 수 있음.

그런데 도태되어야 할 기업을 살리는 게 될 수도 있음.

(능력이 있어야 살아남을 자격이 있음.)

기업에 지원금? 세제혜택으로 간접적으로 줄 수 있음.

(혜택을 안 주면 다른 나라에게 밀림.)

 

이렇게 정부가 기업을 지원하는데 당연히 소비를 줄이고 '투자'를 해야 함.

(고금리가 유지돼도 되는 기업은 그래서 '성장'함.)

 

정보가 너무 빨라서 컨트롤하기도 쉽고 대응하기는 어려움.

 

그래서 '지수' 투자나 '빅테크' 기업하는 것이 좋음.

(되는 놈에게 투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