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6. 13:31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실리콘밸리뱅크.
벤처 기업의 자금을 받아서 운용함.
그것을 위험한 자산에 투자할까요?
절대 아님.
그래서 포트폴리오의 50% 이상이 '채권'임.
국채나 기관채 같은 채권으로 보유하고 있음.
근데 채권 가격이 나락을 가버림.(금리가 올라가서)
* 재무부에서 발행하는 새 채권이 금리를 더주기 때문.
뱅크오브아메리카도 1949년 이후로 최악의 폭락장이라고 표현함.
1년 만에 금리를 10배 가까이 올렸기 때문임.
확정 손실이 아니라 평가 손실이라서 보유하고 이자를 받으면
손실이 안 생기니까 손실이 아님.
벤처 기업 입장에서는 금리가 높아져서 투자를 안 하니 조발 비용이 높아짐.
그래서 회사가 보유한 현금으로 투자를 해버림.
(실리콘밸리뱅크에서 돈을 빼버림.)
그러면 자산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채권을 강제로 팔아야 함.
(현금 비중이 7% 밖에 안되기 때문임)
원래 계속 가지고 있으면 평가 손실인데 강제로 팔아야 돼서
'확정 손실'이 나버림.
그리고 울며 겨자 먹기로 '유상 증자'를 해버림.
그런데 실패함.
확정 손실 때문에 아무도 투자를 안 했기 때문임.
그리고 '연방예금보험공사'에서 거래를 중단시키고
'예금보험국립은행'에서 자산을 그대로 이전함.
JP모건 자산 규모 3.5조 달러.
BoA 2.8조 달러.
시티그룹 1.9조 달러.
골드만삭스 1.2조 달러.
모건스탠리 1.2조 달러.
SVB는 겨우 2천억 달러임.
기사에 광고를 위해 자극적으로 쓴 것일 뿐임.
리먼브라더스는 미국의 4대 투자는해잉었음.
SVB랑 다름.
2008년의 악몽?
SVB는 지역은행일 뿐임.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루카스] 품격의 중요성 (0) | 2023.07.06 |
---|---|
[윤루카스] 세상에 공짜 점심 같은 것은 없다! (형평성 VS 효율성) (0) | 2023.07.06 |
[윤루카스] 왜 열심히 일하세요? (균형보다는 '자유') (0) | 2023.07.06 |
[윤루카스] 무한 경쟁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0) | 2023.07.06 |
[윤루카스] 자신에게 가장 기회비용이 낮은 일이 무엇일까? (비교우위) (0) | 2023.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