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5. 16:1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ㅇ 대한건설정책연구원 : 하반기 주택경기 저점 도달
ㅇ 하반기 부동산 시장의 위험 요인.
[대외]
- 글로벌 불안 요인(현재 진행형).
연준 금리 인상에 무게를 실은 말이 나오고 있음.
미국의 금융 불안이 나오고 있음.
미국 같은 경우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음.
- 미국/중국 성장세 둔화.
하지만 '고비'는 지나쳤다고 판단됨.
작년부터 금리 인상한 부분이 지금 영향을 받고 있는 것임.
[대내]
- 대출 연체율 증가.
매물이 쌓인 물건 중에서 내 물건을 팔려면 가격을 낮춰야함.
그렇다고 하면 가격이 안정적인 회복이 아니라 다시 그 지역, 단지는 하락이 진행될 수 있음.
가격을 낮췄는데 매수세가 없으면 하락함.
- 낮은 수준의 주택 거래량
평균 수요량에 대비해서 거래량을 넘어섰음.
하지만 거래량이 회복되는 것은 맞지만 많지는 않음.
'뒷심'이 생기지 않으면 불안 요인임.
- 지방 분양시장 위축.
악성 미분양의 비중이 높음.
대내적 요인은 '매수 심리'로 극복할 수 있다고 봄.
ㅇ '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상승(강보합) 쪽에 무게를 두는 이유.
(매수 심리를 움직일 수 있는 힘)
- 물가 상승률 안정.(기준점인 2%대로 진입)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데 1년이 걸리는데
아직 100%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아님.
- 고용 호조세 지속.
- 국내금융 시장 안정적 흐름.
- 하반기 경제 성장률 인상.(내수경기회복 가능성)
- 부동산 규제완화(재건축/재개발, 역세권 용적률 등) 지속.
(매수 심리 자극) * 윤석열 정부 제1호 공약이 공급 확대임.
* 경제 시그널 : 내수 경기 / 기준 금리 / 유동성.
ㅇ 부동산 투자 적극적 태세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
지금은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야할 시기가 아니라 모니터링하면서
'바닥'을 다지는 것을 봐야한다고 말했지만
지금은 하락 '리스크'가 사라지고 있음.
부동산 투자는 매수보다 '매도'가 중요함.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스트릿] 찐 고수의 주식 투자 조언 (농구천재 송근용 이사) (0) | 2023.07.06 |
---|---|
[부동산쿨TV] 부동산 투자, 경제정책방향 앞으로 어떻게 될까? (0) | 2023.07.05 |
[북극성주TV] 하반기 부동산 시장(강보합) 주택 보유수에 따른 투자 전략 (0) | 2023.07.05 |
[부룡의 부지런TV] 현재 호재가 폭탄 수도권 투자 조심해야하는 이유 (0) | 2023.07.05 |
[루카스 윤] 적정 이윤이라는 것이 존재할까요?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