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주TV] 부동산 바닥 시그널? 통계의 착시 효과일 수도

2023. 6. 14. 20:00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부동산 바닥론 신중해야 한다?, 통계 착시효과 주의?

 

미분양, 서울 거래량 일시적 오르내림일 수도?

 

'전반적 상승제 유보... 양극화 심화될 것'

 

 

ㅇ 대표적인 상승 시그널.

 

- 미분양 감소.

 

- 거래량 증가.

 

대부분 상승 시그널 반대가 되면 하락이 됨.

 

 

ㅇ 미분양 감소 원인.

 

('수요'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아님.)

 

* 아직까지 '수요'의 움직임은 미미함.

 

- 민간 임대 전환.

 

'할인 분양'도 많아질 수 있음.

 

- 분양 물량 감소.

 

 

'가격'은 공급과 수요로 결정됨.

 

공급 대비 수요가 많으면 상승하고

 

수요 대비 공급이 많으면 하락함.

 

그 핵심은 '수요'에 있음.

 

 

ㅇ 서울 거래량 증가의 특징.

 

(양적 거래량? 질적 거래량?, 질적 거래량이 많아야 '상승'함.)

 

- 아파트 가격이 '급락한 지역'에서 거래량 증가.

 

- 바닥 거래(급락한 지역의 급매물 거래) = '양'적 거래의 흐름.

 

 

'반등 거래'가 나타나야 상승의 모습을 보임.

 

 

ㅇ 통계 착시? 이렇게 해석해야 함.

 

하반기에 진짜 바닥이 나타날까? 가능함.

 

가장 큰 이유는 '미분양'도 그렇고 '거래량'도 그렇고

 

공급이 줄어들어 미분양이 감소한다는 것은 '리스크'가 줄어든다는 것임.

 

여기서 '수요'가 조금만 증가해도 '반등'이 빨라짐. (추격 매수?)

 

수요에 대한 움직임만 보이면 '상승의 시그널'로 볼 수 있음.

 

지금은 상승이 되기 전단계임.

 

 

지역별로 반등이 나타나고 있지만 '반등장'은 아님.

 

하반기부터는? 반등하는 지역이 증가할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