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주TV] 2030 세대의 부동산 선호도가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의미

2023. 5. 24. 19:50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ㅇ 부동산 정보 서비스 업체 << 직방 >> 설문 진행 결과.(5월 8일)

- 대상 : 이용자 726명 대상.

- 기간 : 4월 18일 ~ 5월 2일.

 

ㅇ 향후 부동산 투자 계획.

- 부동산 없지만 투자할 계획 : 40.8%.

- 현재 재테크나 투자 수단으로 부동산을 가지고 있다! : 36%.

- 투자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지도 않고 투자하지도 않을 것이다! : 23.3%

 

최근 들어서 '단지'별 '지역'별 부동산이 들썩이고 있음.

 

ㅇ 연령대별 부동산 투자 계획.

20~30대 현재는 없지만 투자 예정이다가 '54.5%'로 압도적으로 많음.

 

ㅇ 많이 투자한 상품

- 아파트 : 47.5%.

- 분양권, 입주권 : 20.7%.

- 상가, 오피스 : 7.7%

 

사람들의 '관심' = '수요' > '가격' 상승.

 

ㅇ 올해 투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이슈.

- 기준금리 변동 : 39.4%.

> 이제는 동결이거나 인하가 될 것임.

- 국내 경기 침체 : 23.3%.

> 기준금리가 동결된다면 '인플레이션' 목표에 도달할 것임.

그러면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부작용이 정제가 될 수 있고

<< 부동산 경기 활성화 대책 >> 이 나올 것임.(내년 총선)

- 부동산 거래 부진 및 청약 시장 위축 : 12.4%.

- 부동산 PF 및 2 금융권 건전성 악화 등 : 7.4%.

 

기준 금리 변화에 따라 많은 것이 바뀔 수 있음.(+심리)

 

ㅇ 재테크, 투자 수단으로 부동산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한 이유.

- 투자 자금이 부족해서 : 52.1%.

- 부동산 경기가 안 좋아서 : 16.6%.

- 과거보다 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서 : 11.8%.

- 부동산 정보가 부족해서 : 8.3%.

 

지금보다 '전세가율'이 높아지고 '대출 규제'가 '완화'된다면

지금은 '자금'이 부족하지만 '부동산'을 관심가지고 '투자'할 '수요'도 증가할 수 있음.

 

ㅇ 2030 세대의 부동산 선호도가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의미.

2030 세대는 상대적으로 '자금' 적음.

그렇기에 '소액 투자'가 가능한 곳을 노릴 것임.(+ 절대 가격이 낮은 아파트/미래 가치가 높은 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