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방법 : 역행자 7단계

2023. 5. 24. 09:4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7단계만 해도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음.

 

0단계 : 무의식 균열.

20살까지 인생이 불공평하고 넘을 수 없다고 생각함.

그리고 어느날 책을 많이 보았고 저랑 비슷한

환경에서도 성공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깨달음.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듦.

 

그런데 의식적으로 주입하면 반발하게 되어있음.

인간의 무의식 중 하나는 스토리를 자주 들으면

거울 뉴련이 작동하여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어있음.

(스토리를 의식 차원에서 반발하지 않음.)

 

1단계 : 자의식 해체.

과거 부자를 보았을 때 금수저라고 치부하며 합리화를 했음.

자의식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임.

오히려 경제적인 자유를 방해해 버림.

자의식을 해체하지 않으면 발전하지 못함.

모든 정보를 차단하기 때문임.

탐색 > 인정 > 전환.

1. 탐색.

열등감을 느끼는 것이 아닐까?

2. 인정.

인정을 하고

3. 탐색.

'인기가 있는 이유가 있겠지!'라고 정보를 받아들이기.

 

2단계 : 정체성 만들기!

'부자가 되고 싶다!' 결심하기가 어려움.

보통 사람들은 정체성 만들기가 어려움.

그런데 만들면 '행동'하게 되어있음.

정체성이 부여되면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됨.

그런데 보통 임팩트 있는 사건이 발생해야 됨.

그래서 의도적으로 '환경설정'을 해야 됨.

인간의 '거울 뉴런'을 활용하여 몰입해야 됨.

세계관의 초점이 맞춰짐.

관련 책을 많이 봄으로써.

 

그리고 그런 '집단'에 들어가서 무의식을 이용해야 함.

 

그리고 '선언'.

뇌에서는 손실, 평판이 나빠지지 않기 위해 더 열심히 함.

 

그리고 '새로운 경험하기'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사고방식이 바뀌게 될 수 있음.

 

3단계 : 유전자 오작동.

하루 사람들은 100가지 의사결정을 함.

그중 똑똑한 사람은 20개 정도만 틀림.

 

그 의사결정들이 반복되고 쌓이면 몇 년 후 부자가 됨.

그러면 어떻게 잘할 것인가?

'유전자 오작동'을 이해해야 됨.

선사시대에 최적화된 심리기제를 가지고 있음.

시도하지 말라는 뇌의 시스템.(죽음을 의미했기 때문임.)

현대에서는 새로운 것을 해도 죽지 않음.

그런데 핑계를 대고 시도하지 말라고 명령을 내려버림.

무의식적인 압박, 합리화를 하게 됨.

그것이 순리자이고 우리는 '역행자'가 되어야 함.

 

4단계 : 뇌 자동화.

머리가 멍청하면 아무것도 해낼 수 없음.

뇌의 속도가 느리면 정보가 와도 해석할 수 없음.

그래서 '업그레이드'가 필요함.

그중 중요한 것이 << 22 전략 >>.

하루에 2시간씩 글쓰기와 책 읽기는 2년 해야 됨.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도 책을 많이 읽음.

뇌 자동화를 통해 '업그레이드'를 해야 함.

 

5단계 : 역행자의 지식.

본능대로 살아가면 매일 패배할 수밖에 없음.

역행자 지식을 미리 알면 승리가 복리로 쌓이고 이익이 나옴.

책을 보는 것은 본능을 역행하는 것임.

 

사람들은 누구 덕에 돈을 벌면 자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합리화함.

이것도 본능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말고 보답을 해야 함.

그러면 '본능'을 거스르는 것이 연습이 되기 때문임.

 

무스펙 노동자, 대기업, 중소기업, 사업, 전문직 등

모든 상황별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

 

7단계 : 역행자의 쳇바퀴.

의도적인 실패를 가져야 함.

그리는 진화적으로 패배를 두려워함.(죽기 때문에)

그런데 현대에서는 시도하고 실패한다고 죽지 않음.

그런데 우울감과 트라우마를 주게 설계되어 있는데

유전자 오작동일 뿐임.

<< 의도적 실패 + 업그레이드 >> 가 반드시 필요함.

실패할수록 남들보다 특별해질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