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주TV] 전세사기 난리에도 전세비중이 다시 증가하는 이유

2023. 5. 20. 09:39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ㅇ 서울 수도권 전세비중 증가.

전세 신고는 1개월이기 때문에 5월 집계는 6월이 되어야 나옴.

그럼에도 지금 현재에도 3월보다 높음.

 

ㅇ 전세비중이 다시 증가하는 이유.

(월세 거래량이 감소했다는 이유와 같음.)

 

 

<< 매매가(투자+실수요) >>가 하락하면 << 전세가(실수요) >>도 하락함.

중요한 것은 '하락의 폭'이 과거 '상승폭' 못지않게 빠른 속도로 하락함.

('상승폭'을 그대로 반납)

 

- 전세가격 하락에 따른 낮은 전세가격.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 '월세 가격'이 오름.

- 전세자금대출 이자 부담 감소.(5% > 3%)

전세가격도 낮고 이자 부담도 낮아져서 전세 수요로 이전됨.

- 낮은 전세가율.

2년전에 전세가격이 높은데 추가적으로 인상을 해야하는데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없으면? 거주하든지 이사해야하는데

기존에 있는 전세금은 그대로 두고 전세금 인상폭 한도내에서

월세로 전환해서 납부하는 것임.(반전세 = 월세)

- 미분양 등 공급물량 증가.

새 아파트가 들어서면 인프라가 아직 없어서 '전세'로 맞추려고함.

실거주 의무가 폐지까지 나타난다면? 더 많은 전세 물량이 많아질 것임.

 

전세가 저점을 찍고 상승의 흐름을 타고 있다고 생각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