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5. 4. 23:05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사람마다 다를 것임.
뇌과학적으로 보면
행복이란 도파민, 엔도르핀, 옥시토신, 세로토닌 등.
호르몬이 분비되어 만족감을 느끼는 과정임.
우리가 어떤 경험, 생각을 할 때 어떤 호르몬이 분비되는지
어떤 뇌의 부위가 자극되는지 보면 행복의 비밀을 알 수 있음.
<< 건강의 뇌과학 >>
뇌과학적으로 행복이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도록 함.
인생관을 바꾸고 삶의 만족도를 3배는 끌어올릴 수 있음.
행복 개념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자신에게 벌어지는 일을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에 달렸다.
- 건강의 뇌과학.
뇌과학적으로 행복은 '느낌'임.
객관적 상황이 아니라 어떻게 인식하는지임.
똑같은 상황에서도 누군가는 천국을 살고 누군가는 지옥을 살고 있음.
객관적으로 월등한 조건에 있는 사람도 불행을 느낄 수 있음.
통계청에서 '국민 삶의 질 2022'.
기대수명, 교육연수, 1인당 국민총소득 등 객관적 지표로 보았을 때
OECD 38개국 중 16위임.
그런데 주관적 지표로만 다룬 통계에서는 36위임.
행복이 전적으로 객관적 지표로 나오면 절대 나올 수 없는 결과임.
연봉 1억까지는 돈을 많이 벌수록 행복해진다는 연구가 있음.
그런데 재벌이 자살, 마약을 하고 물질적 보상도 없는데
스스로 희생하는 사람도 있음.
'행복'이라는 것이 호르몬 작용에 의해 '만족감'이라면 '생각'을 바꿔야 함.
어떻게 해야 행복을 얻을 수 있을까?
정신적 행복은 좋은 느낌을 얻었을 때,
효과적으로 기능할 때 그리고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갈 때 주머니다.
- 건강의 뇌과학.
정신적 행복을 구성하는 요소는 3가지.
좋은 느낌, 효과적 기능, 목적의식.
마냥 아무 걱정 없고 해맑은 상태가 아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모두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정신적 행복에 중요함.
불안과 공포, 낙담과 비참함은 모두 일반 경험의 일부임.
자연은 이러한 부정적 감정이 우리에게 도움을 주도록
다시 말해 보다 긍정적 느낌으로 옮겨갈 변화 동기를 느끼도록 설계함.
- 건강의 뇌과학.
인간은 본디 부정 편향적이라 부정적 감정을 100% 없애려고 하면
오히려 더 큰 부정의 구렁텅이에 빠짐.
<< 좋은 느낌 = 오직 긍정 >> 은 아님.
좋은 느낌은 부정적 감정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태도에서 출발함.
'긍정'으로 바꿔내려는 과정이 진짜 좋은 느낌, 행복을 선사함.
부정적 감정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그 안에 에너지가 숨어있기 때문임
부정적 감정, '결핍'이 원동력이 될 수 있음.
행복을 느끼는 좋은 감정이란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결과'로 바꿔내는 과정에서 비롯됨.
'건강'이 무너지면 '행복'하기 어려움.
제대로 기능하는 것은 행복하는 것임.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도 마찬가지임.
행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을' 해야 함.
연구 결과를 보면 모든 문화에서 '전적인 무위'는
우리를 가장 불행하게 만드는 삶의 방식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음.
- 건강의 뇌과학.
아무 일도 안 하는 '무위'는 사람을 불행하게 만듦.
사람은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성장할 때 그리고
의미 있게 살아갈 때 행복감을 느끼고 호르몬이 분비됨.
물론 '경제적 자유'는 중요함.
은퇴가 싫어하는 일을 그만두고 꿈꾸던 일을 시작하는 것은 좋음.
대부분 생각하는 파이어는 일 안 하고 놀 거야!라는 뜻임.
이런 마인드셋은 빨리 부자가 되고 싶다!라는 것에 기초함.
이런 마인드로는 파이어가 불가능하고 운 좋게 성공해도 행복하기는 어려움.
의미 있게 일할 때 효과적으로 기능한다고 느낄 수 있음.
지금하고 있는 일이 싫다면 의미 있는 일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함.
그러면 행복해질 것임.
무슨 활동을 하든 간에(섹스든, 독서든, 몸치장이든) 그리고
'행복'의 기준에서 어떻게 평가했든 간에 자신이 하는
일에 집중할 때 사람들은 더 높은 행복감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음.
- 건강의 뇌과학.
'몰입'이 '행복'을 만듦.
하루종일 스마트폰 뒤적이며 한 것도 없이 하루를 마치면 행복하지 않음.
유혹을 물리치고 본질적인 일에 집중할 때 행복해짐.
'유혹을 이겨낸 기억보다 더 만족스러운 기억은 없다!'
목적의식.
잠재력을 발휘하고 성장할 때, 앞으로 나아갈 때 행복할 수 있음.
앞으로 나아가려면 '목적지'가 있어야 함.
'타인지향적' 목표.
자신보다 타인을 위할 때 같은 노력을 들여도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음.
다른 사람에게 다 퍼주고 봉사하라는 소리가 아님.
타인 지향적 목표를 설정하면 다른 사람의 필요에 관심을 가지게 됨.
타인의 필요를 채워주는 건 '비즈니스'의 조건임.
다른 사람을 위할수록 더 크게 성공하고 행복도도 높아짐.
두뇌에 대한 투자는 주식 투자와 비슷함.
중요한 것은 투자하는 '순간'이 아니라
시장에 머무르는 '기간'임.
- 건강의 뇌과학.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NBC] 월가의 영웅, 피러 린치의 '주식 투자' 조언 (0) | 2023.05.05 |
---|---|
[드로우앤드류] 일을 잘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느냐? (인사이드-아웃) (0) | 2023.05.04 |
[드로우앤드류] 성공하기 위한 6가지 키워드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 (0) | 2023.05.04 |
[드로우앤드류] '린치핀'이 되어야합니다 (대체 불가능한 사람) (0) | 2023.05.04 |
[북토크] 봉급 생활자가 '사업가'를 절대 이길 수 없는 이유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