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언] 복잡계에서의 투자, 돈 버는 지능을 올리기 위해 해야할 것 (오종태 이사)

2023. 4. 11. 19:41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복잡계'.

 

'열린 마음'이 필요함.

어떠한 프로세스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쌓인 '경험'과 '노하우'를 녹여야 함.

 

코로나 사태 이후 '정책 당국자'들의 '의지'가 중요함.

(시장 참여자의 의지는 중요치 않음.)

'정치'를 '내생 변수'로 판단해야 함.

 

자본주의는 역사적으로 '중상주의'임.

그리고 식민지를 펼쳐나가면서 위험하니 돈이 필요했음.

그래서 '금융'가와 '정치'가가 같은 편이 되어버림.

그 이후 '산업 혁명'.

'금융 자본'이 더 먼저 있고 '산업 자본'은 나중에 있음.

 

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현상을 볼 때

'단순화'(복잡성을 낮추는) 시켜야 함.

1. 기업 실적.

2. 유동성.

3. 센티멘털.

고체, 액체, 기체.

단단하고 변화가 크지 않은 실적 고체.

돈(유동성) 왔다 갔다 액체.

센티멘털, 흥분되는 마음 기체.

 

단단한 것에서 기체로 갈수록 다양한 방법이 나옴.

모든 사람들이 많이 잡는 기준과 나의 기준이 매치가 되어야

투자에서는 사용할 수 있음.(뜬구름 X)

 

'시공간'.

인간은 '확장'하려고 함.

그래서 [공간] 달, 바다 등으로 공간이 확장됨.

[시간] 타인의 죽음을 보고 종교를 통해 사후세계를 만듦.(시간의 확장)

시공간이 합쳐져서 확장되는 것이 '메타버스'임.

 

산업의 초기에는 반드시 '변동성'이 있음.

신생 + 기술성 + 사람들의 동의 + 정부의 규제 X = 환호.

 

[복잡계] 회사가 얼마 버는지 중요하지 않음.(실적)

100억을 추가로 당길 수 있느냐가 중요함.(유동성)

50억, 50억을 써서 2년뒤 사라지는지는 중요치 않음.

 

'확실성'과 '단순계'는 연결되어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