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프로TV] 가치투자 세계관 8가지, 주식 투자 내공키우는 방법 (최준철 대표)

2023. 3. 19. 19:4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주식 투자는 '확률적인 사고'를 해야 됨.

 

전체 자본시장 시스템에서는 '장기적 낙관론'을 갖되

 

개별단에서는 '회의주의'를 가지고 분석하고 벗겨낸 다음에 베팅해야 됨.

 

'교집합적 사고', 가치 투자자는 싸고 좋은 주식을 사야 됨.

 

'순환론적 사고'(평균 회귀)를 해야 됨, 늘 모든 것은 돌고 돎.

(영원히 안 좋아질 것도 좋아지고 반대도 마찬가지임.)

- 이것을 못하면 저점 매도 고점 매수를 해버림.

 

'시장 보다 종목' 시장분석은 적게 하고 종목 분석에 시간을 쏟아야 함.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는 알아야 하지만 투자 프로세스에서는 별로 투입이 안됨.

투자 아이디어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매크로를 따로 찾아서 반영을 할 뿐임.(바텁-업)

 

'시장의 능멸' 주식 시장은 능멸의 대가임.

가스라이팅도 하고 뒤통수도 치고 줬다 뺏기도 함.

이런 것 때문에 주식 투자를 잘 못하게 함.(장애물)

능멸의 대가를 인정하면 '변동성'을 받아들일 수 있음.(이용할 대상)

- 펀치를 1대도 안 맞고 권투 시합을 할 수 없음.

- 반드시 치러야 할 입장료임.

철저하게 시장이 주는 가격을 취해서 이용해야 됨.

 

가치 투자자가 생각하는 주식 시장은 '옆집 아저씨(미스터 마켓)'임.

매일 오전 9시에 삼성 전자 6만 원에 살래? 6만 5천 원에 살래? 4만 원에 살래? 라고함.

우리가 거절할 수 없이 매일 찾아옴.

이러한 '관점'이 '투자를 어떻게 집행하느냐'에 큰 영향을 줌.

'독립적 사고'가 필요함.

 

운전처럼 전방을 주시하지만 2~3차례 앞을 봐야 함.

좋은 아이디어 장기 보유해야 함.(이어달리기 개념, 수익 극대화)

 

< 투자 내공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은? >

 

반드시 늘 낮은 레벨에 시작해서 중간 단계를 거쳐서 높은 단계로 가야 함.

이 과정을 스킵하지 말고 포기하지 말아야 함.

 

'초심자'

초심자 때는 실패를 디딤돌 삼아서 경험을 쌓는 시장.

그리고 주식 시장의 무서움을 아는 시장임.

 

'하수'

주가의 변동성에 감정적으로 대하면 안 됨.(감정의 노예)

다 좋아 보일 때 사고 안 좋아 보일 때 팔면 안 됨.

 

'중수'

노하우를 축적하지만 '비법'과 '이론'을 맹신하려고 함.

그런 것은 없음.

종목풀을 넓혀서 비중을 늘리거나 줄일 줄 알아야 함.

종목을 사랑해서는 절대 안 됨.

 

'고수'

고수가 되면 겸손해짐.

시장이 만만치 않고 내 뜻대로 되지 않음을 알게 되기 때문임.

 

'초고수'

'역설적인 성향'을 가짐.

공격적인데 방어적인, 낙관적인데 보수적인.

'때'에 따라 유연하면서 원칙은 있음.

 

주식은 최악일 때 -100%이고 좋을 때 무한대임.

깨지는 종목을 최소화하고 '아이디어'가 맞는 종목을

'쭉' 들고 가면서 '장타'를 쳐야 함.

 

< 개인 투자자들에게 한마디 >

 

투자를 하다 보면 어려운 일은 항상 생기기 마련임.

포기하거나 계속하느냐의 '차이'임.

로또를 사야 로또를 맞을 수 있음.

3년 동안은 '시행착오의 기간'이라고 생각을 해야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