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주TV] 부동산 이 조건 지켜지면 반드시 반등합니다

2023. 3. 19. 22:11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ㅇ 최근 부동산 반등 시그널과 관련된 기사.

'서울 아파트 거래량 16개월 만에 '최대''(과거에는 8개월 만에 등)

'송파 아파트 3.6억 뛰었다(전저점 대비), 집값 바닥 다졌나.'

'서울 아파트 급매 다 팔렸나 최저가보다 비싸도 수요자들 기웃'

- 올라감에도 불구하고 거래가 되니 지금이 저점이다?

'귀신이 곡할 노릇, 당신이 찾던 급매 현장 가면 없는 이유.'

 

ㅇ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분석.

바닥을 찍고 올라가고 있음.

지금 현재 기준 매매 거래량이 1,838건을 기록하지만 더 증가할 것임.

(데이터 1달 시차 - 실거래가 신고.)

서울 아파트 거래량 8개월만에 최대?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알지만 유의미하려면 '평균 거래량 대비 증가'해야됨.

그래야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평균 거래량에 근접'해간다면 '가격이 반등'할 '확률'이 높아짐.(현재 1/3)

증가하는 시점에서는 '모니터링'이 필요함.

거래량이 증가하는데 가격이 왜 떨어질까?

급매와 급급매만 팔리기 때문임.(질적인 측면)

'저가 거래'가 아닌 '반등 거래'가 터져야 방향이 올라갈 수 있음.

시세 반등이 뚜렷하게 보이기 전 단계는 '거래량' 증가임.

그래서 거래량 증가의 모니터링이 중요함.

 

ㅇ 2월 서울 부동산 시장 현장 분위기.

- 청약 시장 분위기는 회복되고 있음.

<< '바닥점'일 수도 있고 '입주'할 때 '회복'되지 않을까? >>라는 '기대심리'의 '결과'임.

- '반등 거래'보다 '저가 거래'의 비중이 높음.

'매매 월평균 거래량'비슷한 수준으로 거래가 증가한다면

'반등 거래량'의 비중도 높아지면서 시세 변화를 볼 수 있음.

 

ㅇ 앞으로 6개월 동안 이것만 지속되면 가격 반등합니다.

2013년도(과거 반등 시점)를 보면 '거래량'이 '우상향'했음.

- 전고점을 돌파하는 우상향 하는 거래량 그래프를 그리는지.

- 매매 월평균 거래량 대비해서 매매 거래량이 (월등히) 높아지는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