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 제가 만났던 부자들 전부다 이것을 끊었습니다(이정윤)

2023. 3. 16. 12:48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Q. 부자가 되는 기회를 잡는 사람의 특징?

무조건 '실천력'.

아무 일도 안 하면 아무것도 안 일어남.

사업? '창의력'만 있으면 안 됨.

직장? '성실성'만 있으면 안 됨.

생각이 깊은 것도 좋지만 바로 실천하는 능력.

될지 안 될지 판단하는 시간도 좋지만 세이브해서 바로 해야 됨.

하지 않는다면 '부자'가 될 수 없음.

왜 실천을 못할까? 실패가 두려워서.

실패는 성공의 씨앗임.

 

'생각은 짧게 실천은 바로.'

실패해도 성공의 씨앗인데 실천하는 것이 좋음.

 

Q. 열심히 사는데 부자가 될 수 없는 이유?

일단 대부분은 열심히 하지 않음.

많이 잡아도 '절반'만 열심히 함.

열심히 산 100명 중 50명이 돈을 못 모았다면?

부자와 열심히 사는 것은 같지 않음.

부자는 돈을 많이 벌고 안 쓰고 재테크를 해야 됨.

열심히 살았는데 안되었다면?

많이 썼거나 재테크에 실패했거나.

열심히 한다고 소득이 높은 것도 아님.(생산성.)

생산성이 소득으로 제대로 연결되는지 봐야 함.

 

우리는 각각의 '재능'이 있음.

직업 선택을 제대로 해야 됨.

일을 잘하는데 돈을 많이 못 받는다? 옮겨야 함.

 

소득, 지출, 투자 3가지 카테고리에서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판단부터 해야 됨.

 

우리의 목표는 부자임.

되는 방법은 열심히? 이것은 과정임.

소득 성장률 / 지출 통제력 / 재테크 수익률만이 부자로 만들어줌.

이것을 위해 창의성, 열심히, 직업 선택 등.

첫 번째 직업, 소득에 대한 고민.

그리고 지출 마지막 재테크를 제대로 했는지 점검이 필요함.

열심히를 어디서 했고 결과는 나오는지 피드백이 필수임.

 

부자가 되기 위해서 하지 말아야 할 것?

생각을 오픈할 필요가 있음.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어떤 누군가의 조언이 창의적이고 도움이 된다면?

일반인들은 못 받아들이고 실천을 못함.

다른 사람 생각을 실천하지 못한다면 실천력 문제가 아니라 받아들이느냐의 여부임.

저의 주식 투자 스승은 스테디셀러를 쓴 저자들.

앙드레 코스톨라니, 피러 린치 등.

그 책에서 각각 뽑아서 내 것화시킴.

오픈 마인드.

 

부자에 대한 오해?

대표적으로 금수저라고 오해함.

직업에 대한 오해, 다양한 직업을 만나왔음.

사업가와 전문직만 돈을 번다?

직장인은 돈을 못 번다?

사업가와 전문직도 힘들어할 수도 있음.

직업상 부자일 것 같은데 아닌 경우도 있고 반대인 경우도 있음.

흙수저 출신 부자들도 많음.

부자는 다 부동산으로 부자가 되었다?

부동산 80%에서 비중이 점점 내려가고 있음.

 

노후 대비는 재무적과 비재무적이 있음.

재무적 : 배당 주식, 임대료 부동산, 3층 구성 보험.

비재무적 : 가족, 친구, 취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