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린치] 주식 투자의 대가가 말해주는 간단한 주식 투자 원칙
2022. 10. 21. 15:19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적정가가 얼마인지는 사다리 타기라도
해서 알고 싶지만 모릅니다.
자신한테 물어보세요.
지수가 10% 떨어지면 어떻게 할 건가요?
20% 라면요?
팔고 나갈 건가요?
답은 늘 대비하라는 것입니다.
제 경험을 말씀드릴게요.
마젤란 펀드를 13년간 운영하는 동안 9번의 폭락을 맞이했습니다.
마이너스 10% 이상이었죠.
시장보다 심지어 더 떨어졌습니다.
그런데 걱정 안 했습니다.
이 돈이 1년 내 필요한 돈인가?
2~3년 내 필요한 돈인가?
수십 년간 장기 투자하면 잃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 돈을 1~2년 내에 써야 하면 주식하면 안 됩니다.
저는 거시경제 안 봅니다.
현재만 봅니다.
앞으로 1년 이내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금리는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구할 수 있다면 목술 걸겠죠.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지금은 알 수 있죠.
주식은 회사를 사는 것과 같습니다.
복권을 사는 게 아니죠.
장사를 잘하면 주가도 오르겠죠.
반대도요.
그러니까 회사 공부를 하세요.
요즘 자료가 좋죠.
알림으로 다 알려줍니다.
IR, BS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들도 능력치가 올라갔습니다.
공짜 자료들이 널렸습니다.
개인들은 '확증 편향'이 강한데 그렇게 하면 안 됩니다.
급등주만 보면 안 되죠.
턴어라운드도 봐야 합니다.
'기법'이나 '편견'만 가지고 매매하면 안 됩니다.
중립적으로 봐야 하죠.
그리고 유연하게요.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렘군] 부동산 투자, 하락장에서만 할 수 있는 것들 (0) | 2022.10.24 |
---|---|
[미래를읽다 - 최진곤] 부동산 매수 타이밍과 김포가 조정지역 해제가 안 된 이유 (0) | 2022.10.21 |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13년만에 찾아온 매수의 기회, 준비는 ‘이렇게’ 하세요 (0) | 2022.10.21 |
[스노우폭스 - 김승호] 돈에게 지배당하지 않는 방법 (0) | 2022.10.21 |
[돈키호테] 영국 귀족들이 재산을 지키는 수단 - 부동산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