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7. 17:0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2M_EaGbd_7Y
왜 인플레이션이 촉발되었을까요?
끝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습니다.
끝나면 어떤 영향을 부동산에 미칠까요?
ㅇ 현재의 인플레이션 촉발된 계기.
- 코로나로 인한 양적 완화 정책.
-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면서 소비 수요 증가.
-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원자재 값 등이 상승하면서 공급 위축.
ㅇ 인플레이션이 끝나기 위한 전제 조건.
- 인플레이션? :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현상.
- 화폐 가치 올리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
화폐 가치를 올리는 과정에서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큽니다.
금리는 화폐의 이자, 가치입니다.
화폐 가치를 올리기 위해 인상을 하는데 급격하면 소비심리는 위축됩니다.
- 물가의 급격한 상승 소비심리 위축.
-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 상승 압력 완화.
- 재고 부담으로 기업 공급 감소.
샀는데 잘 안 팔리지 않으면 적극적으로 만들지 못합니다.
그러면 수요도 공급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점점 줄어듭니다.
ㅇ 인플레이션이 끝나면 부동산 시장 어떻게 될까?
-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강화.
기업의 세금 감면, 수요 촉진을 위한 정책 기조 전환.
가격은 생산도 되고 수요도 맞물려서 상승하는 것입니다.
- 재정 건전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기준 금리 인하.
- 위축된 소비심리가 풀리면서 내수 경기 회복.
- 가계 수입 증대로 투자 활성화.
부담 없이 매수하거나 소비할 수 있는 상황이 옵니다.
기업의 설비, 정부의 정책 투자도 활성화되죠.
- 저점 인식에 따른 부동산 투자 수요 증가.
부동산이 하락하지 않고 반등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하락폭이 클수록 반등폭이 크고 반등 시점이 빨라집니다.'
내 집이 있다면 하락 기간을 버틸 수만 있다면
그대로 버티고 타이밍을 기다리면 됩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된다면 상급지로 갈아타든가 하면 되죠.
현재 상황에 암울해하지 말고 지속 상황에 긍정적인
시그널이 있으니 금리 인상이 유지될 때까지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 판단해도 늦지 않습니다.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김사부TV] 주식이 아니라 부동산을 투자해야하는 이유 (0) | 2022.10.17 |
---|---|
[같이하는 가치투자 - 설윤성] 3년 이상 가져갈 주식은 따로 있다? (0) | 2022.10.17 |
[프란시스 추] 가치 투자의 대가의 주식 투자 조언 (0) | 2022.10.17 |
[박병찬의 부자병법] 부동산 투자 등 행운이 따르기 위한 조건 (0) | 2022.10.17 |
[브자TV] 내 주식 투자가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