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7. 09:30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과거 디플레이션, 저금리에서 현재 인플레이션, 고금리로
환경이 180도 바뀌었습니다.
그러면 것이 이 환경에 적합할까요?
성장주를 밸류에이션 할 때 DCF(현금흐름 할인 법)을 쓰죠.
미래 현금흐름을 현가로 할인하는데 이자율을 씁니다.
1%로 할인하는 거라 3~4%로 하는 거랑 차이가 크죠, 매력도가 떨어집니다.
금리가 1%면 채권 PER, 일드의 역수는 PER이니까 100배입니다.
리스크 프리미엄 이론을 적용시켜도
주식 PER이 50 배면 괜찮죠, 2배 수익이 나니까요.
PER이 50배면 일드가 2%이며 배당하고 성장도 하다고 당당하죠.
저금리 시대에 성장주 PER 100배 괜찮습니다.
금리가 4%면 채권 PER이 25배.
반으로 보면 주식 PER이 12.5배가 적절합니다.
일드가 30%가 나오는 가치주가 있다면 PER 3.3배.
금리가 5%간들 배당, 성장으로 싸워서 이길 수 있습니다.
자금이 이동될 수 있죠.
비싼 주식을 피해야합니다.
성장주는 얼마 전에 10년 동안 이익을 늘어날 기업이라고 해야 합니다.
언택트 유행하는 기업들 중에서 멀티플이 높은 기업을 통칭할 수 있죠.
많이 빠졌지만 여전히 비싸다고 하면
그 역시도 내려갈 언덕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주가가 10배 올라도 쌀 수가 있고 심하게 하락해도
여전히 하락할 수 있죠, 그 끝은 아무도 모릅니다.
과거 경험상 너무 심하게 빠진 종목이 많습니다.
니프티 피프 피 꺼질 때 80%까지도 하락했죠.
회복하는데 15년 이상도 걸렸습니다.
낙폭보다는 '현재 가치에 집중하자!'
싼 주식이 올라가는 것을 대부분 못 보았으니
시간을 거슬러 가야 합니다.
비싼 주식을 안 사는 건 OK이지만 싼 주식이 올라가는 보장이 있냐?
여기서 인플레이션이 나옵니다.
디플레이션 시대에는 저금리에 자금조달, 물가가 내려가니
부지 매입도 쉽고 후발주자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쿠팡이 이마트보다 불리하지 않은 조건이 가능했죠.
지금은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 것입니다.
지금은 자본이 많고 차입금이 없고
이미 설비가 많은 기업이 유리합니다.
이렇게 되면서 최근 몇 년은 특정 기업 PER 100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PDR을 만들었죠.
밸류에이션 툴이 바뀔 것입니다.
리플레이스먼트 코스트(대체 비용).
포스코란 기업을 가장 싼 비용으로 똑같이 설비를 만드는 것이 내재 가치입니다.
지금 시총으로는 절대 못 만듭니다.
소재 인건비 시간 노하우.
인플레이션은 수요가 무한정 있지 않아서
올라가지 못하고 기고효과가 나올 것입니다.
내년 정도에 인플레이션이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생산성 개선도 안되고 에너지 위기, 인력 부족.
물가 4~5%, 금리가 3~4%로 2~3년 가버리면
설비 많고 글로벌 경쟁력 있는 기업은 나쁘지 않습니다.
명확하게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판이 바뀌면 전략이 바뀌어하죠.
실제적으로 말씀드리면 이것은 지켜야 한다.
가장 지키기 어려운 것이 상식입니다.
투자도 마찬가지죠.
미치도록 사고 싶을 때 참는 인내심, 자제심.
두려워서 모든 주식을 내던지고 싶을 때 싸우고 싶은 용기.
계속 되새길 수밖에 없습니다.
다짐하고 공부하고 바이블 읽으면서
계속 마음을 다지고 마음 수련을 하는 것이 좋죠.
버핏의 추천사에도 있었습니다.
'주식 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지식,
내부자 정보, 높은 아이큐가 필요한 것이 아니고
건전하고 지적인 체계와 그 체계를 좀먹는
감정을 다스리는 능력이 중요하다고요.'
능력을 키우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항상 욕심이 나죠.
용기를 낼 때 용기를 못 내는 것도요.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이하는 가치투자 - 설윤성] 종잡을 수 없는 시장에서, 살아남는 비결은? (0) | 2022.10.17 |
---|---|
[같이하는 가치투자 - 설윤성] 전통 가치 투자자의 주식 투자 노하우 (0) | 2022.10.17 |
[부룡] 극심한 부동산 거래 침체, 규제 완화 카드 나올까? (0) | 2022.10.17 |
[북극성주TV] 집값 억대 하락 난리났다, 역대 위기와 차이점은? (0) | 2022.10.14 |
[조사하면 돈나와] 지금 같은 폭락장에 반드시 해야 할 '한 가지' (0) | 2022.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