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3. 10:3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KCCL7fV_zkU
연준 금리 속도가 어떻게 될까요?
급격한 인상이 조만간 멈추고 늦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기서 나타나는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뭘까요?
ㅇ 미국 2022년 연준 금리 현황.
- point 3월 : 0.25%, 5월 : 0.5%, 6월 : 0.75%, 7월 0.75%, 9월 : 0.75%.
미국 부동산도 하락폭이 큽니다.
-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 11월 1~2일, 12월 13일~14일.
2번 남았죠.
- 현재 연준 금리 : 3~3.25%.
우리나라보다도 0.75%p 더 높습니다.
예상되었던 충격은 흡수되었지만 인상이 계속될까요?
ㅇ 연준금리 인상 속도 늦출 가능성 존재.
- 내년 초까지 기준 금리를 4%대로 올린 뒤 내년 상당기간 유지할 방침.
연준 고위 인사가 발표했죠.
4%대까지는 예상해야 합니다.
내년 상당 기간 유지할 방침은 올리고 난 뒤
그대로 유지해나간다는 뜻입니다.
인상을 멈추는, 우리가 바라는 단계죠.
물가가 안정되어야 유지가 되고 물가 상승 부분이 2~3%가 되면
오히려 인하가 되고 부동산 시장이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상승률 둔화.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6월(정점) : 9.1%, 7월 : 8.5%, 8월 : 8.3%).
9~10월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예상되었지만
지금의 수준에서 인플레이션 상승이 소폭으로 된다면 금리도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유지될 수도 있습니다.
- 미국 경제지표가 견고하나 서비스업 중심으로 둔화되기 시작.
물가를 중심으로 금리 인상을 하지만 경기 침체를 우려합니다.
경제 성장률 둔화로 금리 인상 속도를 낼 수 없죠.
다른 나라에 비해서 경제 지표가 견고했어서 선택했던 카드죠.
ㅇ 한국 기준금리 역전 : 2.5%.
우리도 급격하게 올렸죠.
0.5% p로 빅 스텝도 있었습니다.
- 9월 미국 금리 인상으로 역전 : 0.75% p.
- 한국은행 금리 인상 0.5% p 유력.
역전의 간극 줄이기 위해서 과감한 기준
금리 인상을 진행해야 하죠.
선제적인 것이 아니라 따라가는 상황입니다.
외화 유출을 막는 거죠.
ㅇ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내수경기 회복 둔화 > 매수 심리 급격 위축 > 거래 절벽
> 매물 증가 > 부동산 가격 하락 지속.
사려는 수요자가 급감하고 공급자 측면에서는
가격이 하락하기에 빨리 매도하기를 원할 것입니다.
매물을 내놓는데 안 팔리면 속도는 증가하고 가격 하락은 당연합니다.
ㅇ 이상적인 시나리오.
- 물가 안정 > 기준 금리 유지 후 인하 > 활성화 대책
> 내수 경기 회복 > 부동산 시장 안정화.
돈줄이 풀리면서 경제가 회복되고
얼어붙은 경제로 활성화 대책을 펼 것입니다.
그러면 하방은 경직되죠.
완화된 시장에서 호재가 있는 지역들은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역별로 유지 상승 하락이 나타날 것입니다.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니맵 - 전 신사임당 주언규] 딱 하나 바꿨는데 인생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0) | 2022.10.13 |
---|---|
[이채원] 가치 투자자, 살아있는 레전드의 투자 조언 (0) | 2022.10.13 |
[부지런TV - 부룡] 부동산 재건축 재개발의 시대가 옵니다 (0) | 2022.10.12 |
[같이하는 가치투자 - 이채원 의장] 인플레이션 시대, 주도주만 찾다가는 늦는다 (0) | 2022.10.12 |
[같이하는 가치투자 - 이채원 의장] 결국 내 돈을 지키는 건 '원칙'이다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