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자TV - 최준철] 주식 투자,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2022. 8. 23. 07:3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dWIpM49Fa0o 

좋은 주식을 사면 오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주가 결정 요인이 단순하지 않은

사실 그것 때문에 삼성전자 영상도 찍었죠.

올해가 실적 장세이기 때문에 아마추어가 하기 힘든 시장입니다.

스타일이 바뀌고 순환매가 빠르게 돌고

실적에 따라서 주가가 결정되는 움직임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에 개인 투자자들이 대응하기 어렵다고 봤기 때문이죠.

프로와 아마추어 차이는 무엇인가?

넓게 봐서 가치 투자 베이스의 스마트 개인투자자들이라든지

기관투자자 분만 아니라 프로 트레이더들까지 포함해서

소위 실력 있는 프로 투자자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아마추어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아랑 봅시다.

1. 아마추어는 백미러를 보고 운전하고

프로는 전방을 주시합니다.

백미러를 본다는 것은 과거 실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인기를 끌었던 테마와 업종에 집착해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한다.

어제 했어야 하는 일을 오늘 하는 것.

즉, 인기가 있는 종목이 한참 올라가고 나서 잠깐 조정받을 때 사는

이런 행위가 대표적입니다.

2012년이 힘들었던 것도 2020년에 인기를 끌었던

테마와 업종을 고집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죠.

반면에 프로들은 백미러를 참고해서 전방을 주시하여

그 너머를 살짝 보며 대응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여서 시장의 인기와 테마를 인지하고

포지션을 변경합니다.

중국 철강 규제로 우리나라 철강 업체와

금리 인상 사이클과 대출 규제 완화로 은행 업체가

저평가를 해소할 수 없을 구닥다리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세 번째는 코로나로 수혜를 입은 업종이 있습니다.

이것이 유지되고 샀어야 되는 마음을 풀고 싶은 마음에

조정이 왔을 때 다시 사는 저는 지금 오히려 리오프닝 주를

한 발 앞서 봐야 하고 프로 투자자들은 시선이 그렇게 넘어갔죠.

두 번째 차이도 운전으로 비유해보겠습니다.

2. 프로 투자자는 달려야 할 때와 멈추어야 할 때를 알고 있다.

앞차의 간격이 좁을 때는 속도를 내지 않습니다.

 그런데 앞이 뻥 뚫리고 속도를 낼 수 있는 구간이 나타나면 액셀을 밟죠.

그래서 베테랑 운전자가 더 빨리 도착하고 멀미도 덜 느낍니다.

아마추어들은 짧은 구간에서 급가속 급브레이크를 밟죠.

정작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내지 못합니다.

기업가치가 상승하는 국면에서 주가가 빠르고 장기적으로

올라가는 개별 종목마다 그런 구간들이 나오는데 프로들은

그 구간을 엑셀을 밟아 다 먹지만 아마추어들은

이익을 확정하고 오히려 빠지는 종목에 물려버리는

하지만 그 사이에 기업 가치의 방향이 달라져있는

이런 종목들로 고생을 하게 됩니다.

아마추어들은 자잘하게 먹고 한 번에 크게 손실을 보고

프로들은 자잘한 것은 맞추지 못하지만 굵직한 몇 아이디어로

크게 법니다.

세 번째 차이는 '개미는 왜 실패에도 불구하고 계속 투자하는가?'라는 

책에서 인용을 했습니다.

3. 아마추어는 주가는 테마에 걸리거나 작전 세력이

끌어올려야 올라간다고 믿는다.

가업가치가 올라가면 주가가 올라간다.

이거는 반대 논리를 많이 이야기하죠.

좋은 회사인데 계속 저평 가고 안 올라가니 의미가 없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는 것입니다.

아마추어는 주가 상승의 요인을 엉뚱한대서 찾죠.

아마추어가 가장 모르는 영역입니다.

기업 가치를 구성하는 요인에서 작은 부분

호재라든가 장래에 대한 기대감 이런 것을

가지고 투자하는데 메인 사업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큽니다.

프로들은 사업의 전망이 밝고 그것이 숫자로 입증되면서

이 사실들을 시장에서 잘 모르는 종목일수록

주가 상승 여력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주식 시장이 어떤 행위에 대해서 보상하는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아마추어는 변동성을 싫어하고 프로는

변동성이 클수록 좋아한다.

가치 투자자뿐만 아니라 프로 트레이더한테도 나타나죠.

프로 트레이더는 장이 빠질 때가 아니라 변동성이

적으면 쉬고 커지면 매매합니다.

수익의 기회가 거기에 있다는 겁니다.

서퍼처럼요.

저는 항상 쇼핑 리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가가 내리면 사야지 오르면 팔아야지.

변동성이 생기면 액션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들은 변동성을 반복할수록 수익이 올라가는데

비해서 아마추어들은 변동성이 반복될수록 수익이

녹아내리는 그런 반대의 현상을 보게 됩니다.

5. 아마추어는 비법을 찾는 경향이 있다.

프로들은 비 버을 쓴다?

굉장히 간단하고 단순한 형태로 비법을 묻습니다.

투자는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닙니다.

프로 투자자들은 주가를 움직이는 모든 요인들을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봅니다.

주식 투자는 과학에 근거한 예술이죠.

균형이 깨져 비법을 찾으면 이차적 사고를 못 합니다.

펀더멘탈을 구성하는 요소는 항상 많습니다.

늘 겸손하고 학습하는 태도를 취해야 하죠.

공부 잘하는 사람을 가만 보면

매일매일 주어진 학습량을 무던지 소화하는 거지

단기에 성적을 올릴 비법을 찾지 않습니다.

아마추어보다는 프로답게 하셔서 좋은 성과를 거두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