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입주 물량 부족에 다주택자 규제는 부동산 가격을 골고루 상승시킨다
2022. 4. 2. 17:51ㆍ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나의 인사이트
반응형
신규 입주 물량을 확보하지 않은 채
다주택자를 규제해버리면 임대 가능 물량이 사라진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두가 1 주택자라고 가정해보면 된다.
그럼 답은 나온다.
그럼 다주택자들이 1 주택화 된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그러면 임대 물량이 줄어들고 임대 물량이 줄어든다는 것은
공급이 줄어든다는 이야기로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높은 전세가로 밀린 사람들이 외곽이나
근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나홀로 아파트나 소형 아파트를
매수하거나 임대를 한다.
그러면 이러한 외곽과 저렴한 상품들의 가격이 상승하여
또 중심지와 중대형 상품을 밀어 올린다.
그리고 또 이것이 반복된다.
결국 골고루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임대든 매매든 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임대 가능 물량 확보이다.
신규든 재고든 말이다.
둘 다 막으면 임대가 상승은 명약관화다.
반응형
'인문학에 기반한 투자 철학 > 나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과 '정치'는 떼려야뗄 수 없다 - '규제'는 '공급'을 줄인다 (0) | 2022.04.02 |
---|---|
당신이 소득 대비 주거의 질이 높은 것은 다주택자 덕분이다 (0) | 2022.04.02 |
'소득'은 내 기준으로 '부동산'은 소득 대비 비싼 것을 기준으로? (0) | 2022.04.02 |
부동산 정책들을 연계해서 보고 정부의'방향성'을 캐치하자 (0) | 2022.04.02 |
절대 잊지말아야 할 투자 철학 : '시간은 돈이다(Time is Money)'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