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보832] 새로운 마인드셋으로 인생을 게임처럼 즐기는 방법
2025. 3. 17. 11:27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실패에 대한 마인드셋과 방법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
🔄변화를 통해 작은 성취를 이루고, 성공에 대한 만족과 자신감을 키워가며,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사업이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시도를 통해 성장과 성공을 이룰 수 있다.
00:00
인생은 게임이다.00:00
물려받은 환경, 재산, 능력에 따라 스케일만 다를 뿐이다.00:00
사람들은 누군가보다 부자해야만 행복하다고 생각한다.00:00
그러나 인생은 연속되고 교차되는 게임이다.00:00
사회적인 네트워크나 돈만 보고 하면 전업 투자자는 너무나 불행하고 자신의 판단이 검증하는 것에 재미를 느껴야함.02:39
투자와 사업은 게임이라는 관점이 있습니다.02:39
투자자들은 가설을 세우고 가설이 흔들리지 않는다면 언제까지라도 주식을 들고 있음(다만, 흔들리면 바로 매도)02:39
또한 동물적 감각과 밸류에이션을 통해 투자할 수도 있음.02:39
사업가들도 마찬가지로 사업을 게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02:39
물론 사업의 영역으로 가면 직원 관리와 세무조사 등의 어려움이 있지만 전업 투자보다는 더 외향적인 성향이 많다고 합니다.05:13
성장을 위해서는 과거의 편견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05:13
유튜버로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더니 구독자 수도 늘어나고 수익도 늘었습니다.05:13
이를 통해 성취감이 상승하고 더 동기부여가 되는 것을 느꼈습니다.05:13
제 태도를 바꾸었더니 지표 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다른 일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습니다.07:51
열심히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07:51
그리고 그 노력을 가지고 사람들과 경쟁하는 것도 당연합니다.07:51
하지만 성과가 생각보다 나오지 않을 때는 마인드셋을 바꿔야 합니다.07:51
변화를 줄 수 있는 마인드셋이 중요합니다.07:51
퀄리티를 100% 내려고 하는 것보다 사업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마인드셋이 더 중요합니다(시스템화)10:21
밸류를 만들기 위해서는 퀄리티 컨트롤을 해야 합니다.10:21
작은 성취를 통해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자기 만족도와 동기 부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10:21
엘리트 외식업자는 매우 운영을 잘하지만 다른 외식업자와의 작은 차이(마인드)로 스케일 업에 실패했습니다.10:21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기존 방법의 강화보다는 나름의 노력으로도 실패하면 뭔가를 바꿔야 된다는 마인드셋이 중요합니다.13:04
채널을 성장시키기 위해 도움을 받을 직원을 뽑으려고 합니다.13:04
이유는 혼자서는 채널을 성장시키기 힘들기 때문입니다.13:04
또한 시도하지 않는 것보다 시도해서 실패하는 것이 나은 것 같습니다.13:04
주변 사람들과 네트워킹을 통해 자신의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3:04
또한 자신의 게임에 집중해서 작은 성취도와 큰 성취도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5:46
자기만의 게임을 통해 인생을 풍요롭게 살 수 있다고 합니다.15:46
하이퍼 커넥티드 된 세상에서는 자기만의 드라마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15:46
또한 타인의 드라마를 부러워하거나 시기하는 것이 아닌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합니다.18:22
작은 성취가 큰 삶의 만족을 가져다줍니다.18:22
박진영은 이미 성공한 사람이지만 공연 티켓이 안 팔릴까 봐 두려운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18:22
모두가 사업을 하며 큰 것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게임을 통해 작은 성취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8:22
스케일은 중요하지 않고 자신만의 게임에서 작은 성취와 큰 성취를 복합적으로 이룰 수 있을 때 삶이 풍요로워지고 즐거워집니다.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보832] 대한민국, 대학교 학벌 여전히 중요할까? (0) | 2025.03.17 |
---|---|
[부읽남] "월급보다 집값이 더 올라요" 저희는 도대체 언제 집 살까요? (0) | 2025.03.17 |
[전인구의경제연구소] 코스피상장 4개월만에 무너진 백종원 신화, 우연일까? (0) | 2025.03.17 |
[전인구의경제연구소] 삼성SDI가 기습 2조 유상증자를 한 이유(ft.상법개정) (0) | 2025.03.17 |
[김단테] 나스닥 반등을 가짜라고 생각하는 이유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