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읽남] "노인 1천만명의 시대" 노인들의 나라가 온다

2025. 2. 10. 22:58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노인 1천만 명의 시대.

노인일 때 모습을 상상해 보셨나요?

(젊을 때는 10년 뒤도 상상도 안됨)

앞으로 우리가 살아야 할 나라는 '노인'이 주력인 세상.

(투자도 사업도 '시대의 흐름'을 따라야 함)

 

앞으로 20년은 과거와 완전히 달라짐.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 : 20%.

노인이라고 인정하게 되는 나이 : 71.6세.

 

여전히 일을 하고 있는 노인 비중 : 39%.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중)

노인의 81.4%는 일상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

 

한국 경제의 급격한 성장 10년마다 경제력이 다름.

(50, 60, 70, 80대는 다른 나라 사람과 마찬가지)

 

GG세대(1950~1971년 출생)

미개척 시니어 시장이 열림.

가난한 시니어(의료/케어) ~ 보통의 시니어(미개척 시장) ~ 부유한 시니어(니치 마켓).

(양극단으로 나뉘어있음)

감성나이 : 신체적 나이보다 젊게 인식하는 경향.

 

1. 영양학적 + 2. 피부(노화 방지) 관리 + 3. 실내 활동 개선 = 젊어 보이게 됨.

 

실제로도 10년 이상 어리다고 생각하고 활동.

(지금 40대는 스스로 30대라고 믿고 있음)

 

65세 이상 노인의 스마트폰 보유율 : 76.6%.

(3년 전 56.4%에서 20% 이상 증가)

인터넷에서 자신들의 의견을 과감하게 주장.

2030 때부터 컴퓨터를 만지던 세대가 지금의 노인들.

(전화선을 뽑아서 모뎀에 꽂아서 쓰던 PC, 텍스트로 채팅 - 돈도 많이 들었음)

ex) 천리안, 나우누리, 하이텔 등.

급격하게 향상되고 있는 노인 학력.

(8090과 6070은 같은 노인으로 보기 어려움)

 

급격한 한국의 경제 성장 = 투자에 따라 자산 양극화.

(한쪽에서는 노인 파산의 증가, 60세 이상 파산 후 재파산 비중 54.3%)

 

6070세대 내 자산격차 실버성형, 안티에이징.

(최대한 젊음을 유지하려고 하는 성향이 많아짐)

 

10년 이상은 젊다고 생각? 노인 기준을 높여야 하나?

(청년연장부터 연금개혁, 의료제도 개편까지 / 정년 55세 시절, 평균 연령 70대)

 

요즘 노인들 : 내 노후는 내가 책임진다!

친구, 이웃과 관계를 원함.

(젊은 노인들은 기성세대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음)

 

한국 트렌드 : '노인' 문화가 될 것.

 

'비관론자는 모든 기회 속에서 문제를 보고

낙관론자는 모든 문제 속에서 기회를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