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바웃 뉴욕] 나홀로 웃는 미국 스쿨버스 제조사 블루버드

2025. 2. 7. 23:30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전기차 캐즘 구간 진입.

스쿨버스를 만드는 블루버드는 혼자 웃을 수 있는 이유?

스쿨버스는 주행거리가 짧고 하루에 2번만 운행.

(배터리나 충전 문제에서 자유로움)

한파가 덮친다면 학교는 이미 휴교.

 

스쿨버스의 색상을 포함한 기준들이 정해짐.

'스쿨버스 옐로'

(밤에도 잘 보이는, 최우선은 '안전')

 

전기 스쿨버스가 주목을 받는 이유? 건강.

(깨끗한 버스로의 전환)

+ 환경 측면.

 

스쿨버스의 평균 주행거리는 130km.

(충분한 거리)

차고로 들어가서 밤새 충전을 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음.

3대 스쿨버스 제조업체 하나인 블루버드.

(시장 점유율 30%)

 

콘크리트 회사를 위한 버스를 만들었는데 학교에 팔게 됨.

스쿨버스의 원조.

 

오랜 역사 끝에 쌓은 안정성의 이미지.

(전기차로의 변신)

 

미국의 스쿨버스는 '형태'와 '탑승 인원'에 따라서 '타입'이 나눠져 있음.

A타입 10~30명 밴.

B타입, C타입(표준).

 

1994년 최초로 전기 스쿨버스를 출시.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시장 경쟁력을 갖춤.

(디젤에 비해서 부품이 적어서 유지관리 비용도 적게 들어감)

 

+ 정부의 지원.

 

전기 스쿨 버스는 다른 수익과 총마진 구조를 가져올 수 있게 만듦.

(판매 단가 상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