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단테] AI 주식의 몰락: DeepSeek가 바꾼 게임의 법칙 (ft. 다모다란)

2025. 2. 1. 17:4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다모다란 : 딥시크가 AI 파티를 부쉈다!

 

딥시크 스토리가 매력적인 이유.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으로 만들어냄.

엔비디아 칩 + 엄청난 데이터가 필수라는 주류 내러티브와 다른 길을 선택.

(기존 AI 스토리는 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맞이)

AI 투자자의 내러티브에 변화가 찾아왔다!

저-진입비용 경로 VS 고-진입비용 경로.

저 진입 : 낮은 비용가능(=많은 경쟁자), 가격 경쟁력, 수익성 낮은 상품.

고진입 : 프리미엄 제품 및 서비스 개발, 프리미엄 가격, 높은 수익성.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의 규모가 작아졌다!

 

엔비디아(칩), AI 데이터 건설에 대한 전력/가스 수요 기업에 부정적?

AI에 투자 필요성을 재검토하면서 지출 둔화 가능성 높음.

(애플처럼 신중하게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대부분의 AI 제품과 서비스가 소비자나 기업에게

재미있거나 멋진 정도에 그칫 것이라는 의혹을 확증시켜 준 셈.

 

AI의 기술이 우리 삶을 혁신적으로 바꿀 것이라는 기술 거물들의 행복한 이야기에 반대.

 

1. 기술 거물들은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하고만 어울림.

2. 혁신의 전도사들을 수십 년 동안 만나옴.

1980년대 PC, 1990년대 인터넷, 2000년대 스마트폰, 2010년대 소셜미디어.

모두 혁신적이라고 했지만 부작용이 많았음.

 

AI 제품과 서비스 시장에서 고급 제품과 저급 제품이 분리될 것임.

B2C, B2B, B2G 구분.

 

도움이 되는 사람 = 똑똑하면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

 

AI 제품의 퀄리티가 빠른 속도로 좋아지고 있고

세계 최고의 인재, 기업, 자본들이 달려들고 있음.

 

ChatGPT가 나온 지가 2년이 조금 넘었음.

더 좋은 제품이 나오고 AI 친화적인 업무를 하는

세대들이 주류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인류는 AI와 공존하게 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