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단테] 중국에서 '딥시크(AI)'가 나올 수 있었던 이유

2025. 1. 30. 16:5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좋은 인공지능이 나오기 위해 필요한 것.

1. 인력.

2. 좋은 창업자.

3. 돈.

4. 데이터.

왜 딥시크가 중국에서 나올 수 있을까?

좋은 수학, 컴퓨터 과학/공학 인력들이 필요.

국제정보올림피아드 역대 성적 압도적 1위 중국.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역대 성적 많은 1위 중국.

국제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최근 1위 북경대, 3위 칭와대, 7위 베이징교통대, 10위 저장대.

(1등~10등은 중국이 들어가고 나머지는 누구냐의 싸움)

AI 관련 좋은 논문을 쓰는 연구자는 어느 국가? 중국.

= 언제나 상위권은 중국.

미국 대학 소속 친구들도 막상 대회장 가서 보면 '중국인'인 경우가 많음.

 

[딥시크 개발팀]

중국의 명문대학생들 : 칭화대, 북경대, 저장대 등.

유학 경험 없고 졸업한 지 1~2년 밖에.

(중국 인력풀이 좋아서 월드클래스 급 연구가 가능)

 

심지어 중국 AI 인력들이 일하는 레벨도 만만치 않음.

 

딥시크의 창업자는 헤지펀드 창업자.

17살 저장대학교 입학한 수재, 2008년부터 주식시장에 관심을 가짐.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퀀트 헤지펀드에 영감을 받음.

 

지난 5년간 펀드가 시장 벤치마크보다 평균 20% 초과 수익.

량원 퍼의 개인 자산은 5조 원으로 추측이 됨.

(수익성을 생각안하고 사업이 가능)

 

뼛속까지 엔지니어인 량원펑이 인공지능에 미쳐버림.

'트레이더'보다 '엔지니어'로 인식되기를 원함.

논물도 읽고 코드를 작성할 정도.

회사의 목표 : AGI(범용인공지능)을 만드는 것.

빠른 상업화를 하지않고 기존의 모델을 베끼지 않는 것.

(오픈소스 문화를 장려)

독자적인 인공지능 모델 구축하는데 집중.

좋은 연구 + 개발 문화 = 좋은 인재.

 

돈.

인공지능이 다른 소프트웨어와 다른 점? 돈이 너무 많이 필요함.

(GPU를 사야하기 때문, 연산)

헤지펀드 하던 시절부터 퀀트매매를 사용하기 위해

엔비디아 고성능 칩을 10,000개 이상 보유.

 

중국의 거대한 내수 시장에서 돈을 많이 모은 창업자가 인재들을 끌어들이기 시작.

 

데이터.

'인공지능'은 '고품질의 데이터'를 먹고 자람.

(딥시크의 약점)

퀀트 헤지펀드를 할 때부터 적은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시그널을 추출하기를 잘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