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선진국 한국 청년이 가난해지는 과정
2025. 1. 26. 10:30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청년 소득 빈곤율은 낮게 나옴.
돈을 못 버는 건 아님.
뭐가 문제일까? 자산이나 부채.
(물려받은 자산은 없는데 부채가 높음)
전체 가구와 청년 가구 자산 규모 차이는 1.3억에서 2.2억으로 늘어남.
청년들 안에서도 격차가 심해짐.
상위 20%, 하위 20% 38배(소득은 3배).
= 계층 이동 사다리가 무너짐 = 무기력감.
소득, 자산, 주거, 교육, 건강, 문화, 관계 등.
청년 10명 중 8명은 빈곤 상태.
(특히 주거 문제, 주거 빈곤)
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 1인 가구 10명 중 3명은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에 살고 있음.
(1인 최저주거기준 : 4평)
부를 축적하는 속도 < 집값이 오른느 속도.
(거주지의 상향 이전이 어려워짐)
서울 청년가구 평균 월세 : 69만원.
청년층 '쉬었음' 인구 추이 42만 명.
(=청년은 일을 하지 않고 노인은 일을 해야 하는 실정)
대기업 기준 대비 중소기업 임금비율 66.1%.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상향 이직 비율 12%)
= 첫 직장을 최대한 좋게 가려고 하는 경향.
(올라갈 수 있는 믿음이 사라짐)
현재의 결핍을 미래의 희망으로 씻어야하는데 그것이 안됨.
연령별 부채 증가율 증가(ex) 학자금 대출).
양극화.
노인 빈곤율 1위.
젊은 시절의 고생이 정당화가 되지 않는 나라.
(심지어 저성장 국면)
세대 내 사회이동가능성 생각 27.2%.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나옷] 버버리는 명품이 맞을까요? (0) | 2025.01.26 |
---|---|
[슈카월드] 글로벌 편의점 킹 대한민국 (0) | 2025.01.26 |
[슈카월드] 중국 시장에서 1위를 빼았긴 애플 이유는? (0) | 2025.01.24 |
[문해일] 사업으로 성공하고 싶다면 '무조건' 갖춰야 하는 한 가지 능력 (0) | 2025.01.24 |
[비치키] 착해도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사람의 2가지 특징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