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선진국 한국 청년이 가난해지는 과정

2025. 1. 26. 10:30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청년 소득 빈곤율은 낮게 나옴.

돈을 못 버는 건 아님.

뭐가 문제일까? 자산이나 부채.

(물려받은 자산은 없는데 부채가 높음)

전체 가구와 청년 가구 자산 규모 차이는 1.3억에서 2.2억으로 늘어남.

청년들 안에서도 격차가 심해짐.

상위 20%, 하위 20% 38배(소득은 3배).

= 계층 이동 사다리가 무너짐 = 무기력감.

소득, 자산, 주거, 교육, 건강, 문화, 관계 등.

청년 10명 중 8명은 빈곤 상태.

(특히 주거 문제, 주거 빈곤)

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 1인 가구 10명 중 3명은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에 살고 있음.

(1인 최저주거기준 : 4평)

 

부를 축적하는 속도 < 집값이 오른느 속도.

(거주지의 상향 이전이 어려워짐)

서울 청년가구 평균 월세 : 69만원.

 

청년층 '쉬었음' 인구 추이 42만 명.

(=청년은 일을 하지 않고 노인은 일을 해야 하는 실정)

 

대기업 기준 대비 중소기업 임금비율 66.1%.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상향 이직 비율 12%)

= 첫 직장을 최대한 좋게 가려고 하는 경향.

(올라갈 수 있는 믿음이 사라짐)

 

현재의 결핍을 미래의 희망으로 씻어야하는데 그것이 안됨.

연령별 부채 증가율 증가(ex) 학자금 대출).

 

양극화.

노인 빈곤율 1위.

젊은 시절의 고생이 정당화가 되지 않는 나라.

(심지어 저성장 국면)

세대 내 사회이동가능성 생각 27.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