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한은 총재 : "경기 상황만 보면 지금 금리를 내리는게 당연한 상황"

2025. 1. 23. 09:31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2025년 첫 금통위는 기준금리 '동결'.

연속 인하 이후 동결.

현재 기준금리 3% 유지.

(3 연속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동결 선택)

 

한은 총재 : 경기 상황만 보면 지금 금리를 내리는 것이 당연한 상황!

미국 금리는 고공행진 중 : 한때 5%를 위협하던 미국 금리.

미국 금리가 오르는데 한국이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미국과 금리 차이가 커지면 원-달러 환율 상승 위험.

(= 원화 약세, 1,400원대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않음)

 

미국 금리는 왜 높아지나?

[트럼프 공약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내포]

1. 보편적 관세 정책, 중국/멕시코/캐나다는 높은 관세,

2. 불법 이민자 추방 → 노동력 부족 현상.

3. 저렴한 노동력 감소 → 인건비 상승.

 

지금 이순간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 : 미국 소비자 물가.

1월 15일 소비자물가 발표.

전 세계 주식 투자자들이 숨죽이며 바라본 이벤트.

 

인하 의견을 제시한 금통위 위원 :

환율 상승이 물가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경기 둔화로 수요 측 물가 압력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도 경기 중점을 두고 금리를 인하는 것이 바람직.

 

그런데 3개월 내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금통위.

성장률이 떨어지고 있고 통화정책 외 경기부양에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고 봄.

성장률이 떨어진 만큼 보완하는 정도로 추경도 필요하다고 봄.

 

국내경제는 정치 불확실성 증대 등에 따른 심리 약화소비/건설투자 중심으로

2024년, 2025년 모두 지난 전망 경로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제조업'과 '건설업' 업황 부진으로 '고용'도 위태.

소매판매액 지수 10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2003년 신용카드 대란 이후 최대폭 감소)

 

국제결제은행(BIS)은 달러 강세로 인한 '스태크플레이션' 경고.

경기, 물가.

 

경기침에인데 물가는 왜 오르나?

미국의 인플레이션으로 다른 국가들의 금리 인하폭이 제한되는 경우,

수요 부족으로 금리를 인하해야하는데 인하가 막힘.

높은 금리 수준으로 경기는 더욱 침체.

관세자국 통화 약세(강달러)수입물가 상승.

경기 침체 + 물가 상승 완성.

 

'유가'의 역할이 중요.

 

경기 침체를 참지 못하고 금리를 크게 인하한다면?

상당한 자본 흐름(유출)환율 조정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