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30. 15:53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금'도 '비트코인'도 '증시'도 사상 최고치 부근이다?
트럼프 당선 때문에? 이것만은 아님.
그런데 원자재라든가 유가도 마찬가지로 하방을 때리고 있음.
(경기가 좋아질 거라는 신호와 둔화될 거라는 신호가 엇갈리는 상태)
'금'이랑 '비트코인'이랑 '증시'가 같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음.
위기 이후 투자처로 돈이 흘러갈 때 충격을 먹고 나서 빵 하고 올라갈 때
그때는 연준이 돈을 많이 푸니까 유동성이랑 회복세랑 같이 올라감.
(그런데 3가지 상승이 먹히려면 국채 금리가 내려가야 함)
금리가 오르고 달러는 강세로 돌아섦.
'강달러'에서 '고금리'에서 코인과 금이 오른다?
(시그널들이 엇갈리면서 오르는 상태)
이론만으로는 안 되는 것이 사람의 '광기'를 생각해야 함.
저점 매물(장기간 횡보)을 먹고 상승 추세를 타면 관성의 힘으로 계속 올리는 것이 가능.
코인이라는 것이 보통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과 반대로 움직임.
사람들이 코인이 오를 거라 하면 125배 레버리지 선물 거래를 해버림.
코인 현물을 많이 가진 사람 입장에서는 선물 청산을 위해 억지로 내림.
'금'과 '증시'의 상승은 큰 시점으로는 같이 움직이고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유동성만'큼 둘 다 오름.
하지만 갑자기 금이 치솟는 타이밍이다? 좋지 않음.
(금이 급등하면 얼마 안 있어 증시가 하락하는 경우가 절반)
상승이 제대로 시작되는 구간에서는 비트코인이 가장 급등함.
소프트 랜딩? 하드 랜딩? 노 랜딩?
(낙관론이 시장을 지배 = 장밋빛 미래 = 주가 상승)
시중에 돈을 많이 풀었음.
M2 통화량이 계속 증가(긴축 기간임에도)
저축은 줄고 소비는 과거 수준은 유지.
돈이 없는 층에서는 소비력의 한계가 나오기 시작.
제조업이 살아나고 경기가 좋아지면 랠리가 더 나오지만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침체가 서서히 나올 수도 있음.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에도 유동성을 풀 것인가?
시장이 오히려 나쁠 때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대중드로가 반대로 투자하는 습관을 해야 됨.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사남] 더 이상 강남도 빌딩 시장 안전지역이 아닌 이유 (0) | 2024.11.02 |
---|---|
[김단테] 엔비디아가 저평가인 진짜 이유 (ft. 손정의) (0) | 2024.10.30 |
[이상한마케팅] 대표님 매출 10배 높여드릴게요 (0) | 2024.10.29 |
[이상한마케팅] 무료 마케팅으로 180억까지. 1가지만 기억하세요 (0) | 2024.10.29 |
[슈카월드 코믹스] 잃지 않는다는 것은 도대체 뭘까? (ft. 포트폴리오 이론)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