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까페] 탑-다운 투자가 아닌 '바텀-업' 투자 (하워드 막스)

2024. 10. 2. 14:38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성장 예측치와 다르게 갑자기 성장하거나 침체를 한다?

그러면 추정한 사람들이 다 틀리게 되어버림.

종종 이러한 것도 맞추는 소수가 있는데 그러면 가치가 생겨버림.

세상에 그 누구도 지속적으로 변칙을 맞출 수는 없음.

이런 예측은 수익성이 굉장히 좋음.

그래서 투자하기도 어려움.

10년 동안 2% 성장했는데 8% 성장한다고 하면? 믿지 않을 것임.

그런데 맞춘다면 엄청난 예측이 될 것임.

계속적으로 예외적인 상황을 예측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음.

그 누구도 예외적인 상황을 지속적으로 맞출 수는 없음.

 

탑-다운 투자자들은 경제가 앞으로 이렇게 될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여러 산업들이 되고 금리, 산업별, 회사별 즉,

경제 전체를 조망하고 개별 회사 투자까지 이어지는 투자 방식.

 

바텁-업 투자는 다른 방식으로 그냥 저가의 매물을 찾는 것임.

(시장을 예측해도 어차피 틀리기 때문)

어떤 산업이 수혜를 입을지 어떤 기업이 잘될지도 모름.

그냥 개개별 회사를 볼 뿐임.

저평가된 회사를 찾고 매수하는 것은 꽤 지속가능한 행위임.

(타율이 100%인 타자는 없음)

경제를 예측하는 것은 맞출 수만 있다고 아주 좋은 것인데 매우 어려울 뿐임.

 

의미 있는 정보가 되려면 2가지가 맞아야 함.

1. 중요한 정보 + 2. 알 수 있어야 하는 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