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28. 17:07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EU 미래 경쟁력 보고서.
몰락의 이유? 저성장.
독일은 심지어 마이너스 성장.
(EU 전체 GDP의 1/5)
미국 주 하나하나가 선진국 보다 잘 삶.
(미국 50주 인당 GDP 순위에 유럽을 포함하면? 독일, 프랑스, 유럽연합)
(애플 하나가 유럽을 대표하는 나라의 증시 시총과 엇비슷한 수준)
유럽의 인플레이션 = 에너지 가격 상승.
글로벌 유가가 비싼 이유는? 러-우 전쟁.
(러시아발 파이프 상태로 받지 못함)
탈탄소의 덫.
기업들의 생산 비용 증가 < 가격 경쟁력 약화.
중국산 배터리, 태양광을 수입해야 할 지경.
중국 덕분에 유럽의 무역이 성장을 많이 해왔는데 최근에는 급감.
(전 세계적으로 무역 침체 + 블록 경제 + 보호 무역)
중국의 성장이 침체되면서 유럽에 대한 구매력도 감소.
(EU-대중 무역 적자가 심각해짐)
고객이었던 중국이 경쟁자가 되어버림.
중국은 자원수출까지 제한하고 있음.
유럽 연합은 분열이 생기는 중.
(거대하고 효율적인 빠른 EU가 필요)
안보 비용 증가(경제에 악영향).
나라마다 분산이 되어있어 규모의 경제가 안됨.
(장비들 호환도 안됨)
미국-유럽 국가 생산가능 인구 비율이 감소.
(인재 교육을 잘하고 업무에 활용한 인프라가 미국에 비해 뒤처지고 있음)
왜 기술 발전을 못했을까? 규제가 심함.
(국가가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
여러 정부와 금융 기관으로 흩어지고 있음.
미국은 채권이나 주식 같은 자본시장이 커서 투자를 받는데
유럽은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실적도 담보도 없는 스타트업은 어려움.
투자 규모가 작고 리스크 높은 신사업에 공격적인 투자가 어려워짐.
(자동차 등 전통 제조업도 어려워지고 있음)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언규] 13억 날리고 알게 된 내가 망한 사업 공통점 (0) | 2024.09.30 |
---|---|
[슈카월드] 중국, 공동부유는 어디로? (0) | 2024.09.28 |
[조승연의탐구생활] 나라 먹여살리는 국가별 시총 Top 10 기업 분석 (0) | 2024.09.24 |
[유어아너] 인간의 죄는 어차피 처벌이 일어나거든 (0) | 2024.09.21 |
[슈카월드] 일본 세븐일레븐은 왜 52조를 거부했나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