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베이비부머 은퇴 시작, 한국 경제 기억은 끝났나?

2024. 7. 12. 10:32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베이비부머는 몇 년도생?

미국은 1941~1964년생.

우리는 1차 1955~1963년생, 2차 1964~1974년셍.

1,2차 합쳐서 1955~1974년생.

현재 50~69세.

이 시기는 연도별 출생아 수가 최하 90만 이상.

 

연도별 출생아 수 최전성기 20년.

1964년생은 올해부터 만 60세에 진입(법정 정년).

(2차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진입)

(공식 노동시장 이탈)

1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이탈로 타격을 받은 경제성장률.

0.30% p대.

 

은퇴 후 소득 감소와 노인이 되면서 소비 규모도 축소.

조금이라도 이들의 은퇴를 늦춰야 한다?

 

6070대에도 일하고 싶다 68.5%.

60세 이상 경제활동 참가율 약 47%.

(경력보다는 단순 일자리에 주로 집중)

 

한국은행 : 재취업 시 고용의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

'부양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하는 사람을 늘리고

부양받는 사람을 줄이면 된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이 압도적인 대한민국.

(자신의 경력 대비 미스매치한 일자리에서 주로 근무)

어르신들이 버티는 저임금, 노동집약적 산업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음.

 

1,660만 명의 은퇴가 오고 1,080만 명이 진입?

600만 명(부산 2개)이 감소, 현 경제구조를 유지할 수가 있나?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중장년층 고용 안정성이 극히 낮음.

(50살을 기점으로 근속연수가 하락)

임원 = 비정규직.

 

대한민국의 호봉에 따른 연공서열형 임금구조.

(고임금, 고호봉인 높은 관리자 직급을 유지하기가 힘듦)

(기업 입장에서는 부담)

 

노동 시장이 가장 유연한 미국에서는 정년이 없나? 없음.

(1986년 정년제 폐지)

 

생애 전체 소득을 줄이지 않는 노동시장 유연화가 가능할 것인가?

 

대한민국의 경제 기적은 끝났는가?

과거 경제 성장의 중요 동력이었던 값싼 노동력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 파이낸셜 타임스.

과거의 오래된 성장 모델을 개혁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것이 너무나 성공적이었기 때문.

(기술 우위 축소, 서비스 부분의 성장은 제한)

 

대한민국은 인구 10만 명당 AI 특허가 세계 1위.

지역별 AI 인재 집중도 대한민국 3위.

(이스라엘, 싱가포르 다음)

대한민국 AI 인재 해외 유출 3위.

(인도, 이스라엘 다음)

 

자원의 배분을 어디에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

어딘가를 늘리면 어딘가를 줄여야 됨.

그것이 구조 개혁이고 언제나 어려움.

 

그러나 기적은 끝나지 않았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구조 개혁이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