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흙수저로 시작했지만, 노후 금수저가 되는 사람들의 특징
2024. 6. 3. 09:56ㆍ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수저 구분]
금수저 : 대학졸업이나 결혼을 전후해 부모님이 정기적으로 상속, 법인 소유.
은수저 : 대학 졸업이나 결혼을 전후해 부모님이 주거비 일부 지원.
동수저 : 부모님이 대학 졸업 후(결혼 후) 어떤 부양 의무를 지지 않음.
흙수저 : 부모님 부양을 취직, 심지어 결혼 후에도 해야 함.
(흙수저의 슬픔은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증폭)
[순자산 상위 가구]
이를 꽉 깨물고 20%선에도 도전하는 수밖에 없음.
2만 가구 대상으로 순자산 기준 1% 커트라인은 29억.
38억이 넘으면 0.5%, 76억이 넘으면 0.1%.
상위 10%(8~9억 전후) 혹은 20%(5억 전후)는 충분히 가능.
세계에서 손꼽히는 부자 나라 국민의 순자산 현실은?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의 부자 보고서)
순자산 100만 달러(12억)이면 세계 상위 12%.
중윗값은 한국은 9,3만 달러, 1.2억(1위는 호주, 27만 달러).
미국 9.3만, 스웨덴 9.5만 달러.
흙수저라면? 어떤 전략으로 얼마나 적립 투자하느냐가 관건.
33세 흙수저 맞벌이 부부가 연 2,400만 원을
49세까지 저축하면서 운용한다면?
(대부분 직장인은 만 49세 전후로 주 소득원이 사라짐)
※ 모든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더머니] 세계 1등 월튼 가문의 샘 월튼에게 배우는 사업 철학 (월마트) (0) | 2024.06.03 |
---|---|
[동네의사 이상욱] 홈케어 디바이스 VS 피부과 의료기기 (기업의 추구가치) (0) | 2024.06.03 |
[빌사남] 대한민국 강남구의 CEO가 된 썰 (ft. 작심) (0) | 2024.06.03 |
[기먼성] 특급호텔 12만 원짜리 망고 빙수 솔직히 이야기 (0) | 2024.06.02 |
[슈카월드] 최근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물가. (0)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