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12397)
-
[하워드 막스] 주식 가치 투자자가 보는 가치주와 성장주
가치투자자들이 성장 투자자 대비 '가치'를 어떤 점에서 다르게 보는지입니다. 가치주는 오늘날의 현금흐름과 자산가치로 가치를 평가하기 때문에 이론상 더 안전해야합니다. 수익이 날 것이라고 더 믿음이 가죠. 비록 뛰어난 성장주보다 수익률이 높지 않지만요. 저를 포함한 가치 투자자의 관점에서 성장 투자는 증명되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신념을 동반합니다. 주가 급락의 리스크도 있습니다. 성장주를 어려운 시기에도 보유하려면 투자에 대한 확신이 커야죠. 하지만 성장주가 상승할 때는 낙관론을 반영합니다. 시장이 조정될 때 낙관론은 사라집니다. 그리고 주가의 급상승을 말하자면 1998년~2000년 닷컴 버블이나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니프티 피프티도 비슷했습니다. 낙관주의가 증가할 때 어떻게 되는지 보여..
2022.03.01 -
[하워드 막스] 주식 투자에서 남들보다 우위를 점하는 방법
모든 사람들은 낮은 리스크를 부담하지만 큰돈을 벌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이들이 찾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투자처는 아닙니다. 여러분이 그런 투자처를 찾으려면 우위가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다른 사람들이 하지 않는 어떤 일을 하나요? 약 70년 전인 1950년에 시장은 매우 비효율적이었습니다. 당시 컴퓨터나 데이터 피드가 없었고요 조금만 노력해도 다른 사람들이 가질 수 없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죠. 단순히 남들보다 더 노력해서요. 과거에는 소우의 사람들만 '저평가된 가치'의 개념을 이해했으며 저평가 투자처를 찾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었습니다. 세상은 더 멍청했죠. 제가 금융업에 종사하기 시작한 50년 전의 투자자들은 더 멍청했습니다. 저평가 투자처는 찾기 쉬웠습니다. 제가 투자한 지 첫 수십 년 동..
2022.03.01 -
[하워드 막스] 주식 성장주와 가치주의 구분 역사
1960년대를 본다면 성장주들이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60년대 초에 제 아버지가 거실에서 메릴린치가 발간한 책자를 보았던 것이 기억납니다. 테크 분야나 마케팅 분야의 혁신 기업들을 모은 자료였습니다. 마케팅 분야에서 혁신적이었던 Avon과 같은 기업들도 테크 분야의 혁신 기업들처럼 중요하게 여겼었죠. 이 기업들은 곧 "니프티 피프티"라는 명칭으로 불렸습니다.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기업들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어떠한 가격이든 지불항 용의가 있었습니다. 제가 금융업에서 신입으로 일했을 때의 일입니다. 1960년대 후반이었죠. 어떤 것에 이름을 붙인다면 다른 것도 구별하기 위해서 명명해야 합니다. 그래서 가치 투자자 진영으로부터 반발이 있었죠. 낮은 밸류에이션 지표를 중요시 여겼었습니다. 그러면서 시간이 흐르..
2022.03.01 -
[하워드 막스] 가치투자의 정의와 가치주 성장주의 구분 방법은 변해왔습니다
당연하게도 시간이 흐르면서 가치투자의 정의와 가치주와 성장주의 구분 방법이 변해왔습니다. 70~80년 전에 벤 그레이엄이 최초의 위대한 가치투자자였죠. 그는 현재 '담배꽁초 투자'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투자했죠. 버려지거나 알려지니 않거나 가격이 오르지 않고 이해하기 어려운 종목들을 찾는 투자 방법입니다. 극도로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워런 버핏은 벤 그레이엄의 제자였습니다. 워런 버핏은 그의 스승을 매우 존경했기 때문에 애초에는 담배꽁초 방법으로 투자를 했습니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에 의하면 찰리 멍거가 버핏의 투자 방법을 바꾸도록 설득했죠. 헐값에 거래되는 형편없는 자산에 투자하는 것에서 적정 가격에 거래되는 훌륭한 기업에 투자하도록요. 워런 버핏이 지난 약 60년 동안 자신이 투자했..
2022.03.01 -
[하워드 막스] 가치 투자의 원칙 5가지
이 원칙들은 제가 생각하는 가치투자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1. 주식을 기업의 지분으로 이해하기. 2. 가격보다 실질적인 가치에 집중하기. 3. 펀더멘털을 활용해서 내재가치를 계산하기. 4. 결정한 펀더멘털 가치 대비 가격이 크게 할인될 때 매수하기. 5. 매력적인 투자 기회가 생길 때에만 감정을 절제하며 투자하기. 입니다. 가치 투자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스스로를 그렇게 생각하죠. 제가 마지막으로 전문적인 주식 투자자로 일했던 것은 1978년이었습니다. 지금은 저 자신을 주식 투자자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하지만 희망하건대 제가 이번 주제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2.03.01 -
[하워드 막스] 가치 투자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여러분 중 몇몇은 제가 지난 1월에 작성한 메모를 보셨을 겁니다. 코로나-19 초창기에 우리 부부가 제 아들에 가족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생각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제 아들도 투자자입니다. 그는 일년 내내 저를 공격했습니다. 우리는 성장 투자와 가치 투자를 논하고 기술주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여러분과 당시 의논했던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999년에 두 분이 저를 방문하셨었습니다. 텍사스 테크 기업의 전 CEO와 CFO였습니다. 그들이 저를 만나고 싶어 했던 이유는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를 시작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저희가 참여하고 싶은지 묻더군요. 제가 펀드 A와 B를 넣는 것이 어떤지 물어보았죠. 그들은 헤지 펀드들만 투자해서는 안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헤지펀드가 무엇인지 물..
2022.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