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윱(5)
-
[슈카월드] 김수출 5억 달러 시대, 글로벌 스타상품
김수출 5억 달러 시대, 글로벌 스타상품.한국은 미역, 일본은 다시마.한국과 일본, 중국(해안가)에서만 해초를 먹음.(외국인들은 잡초를 먹는다고 생각) 김 생산국 - 한, 중, 일.(마른 김 최대 생산국 한국) 미국, 유럽 '한국산 슈퍼푸드'에 열광.우리나라 김수출 대상국 1위 - 미국.(김의 재발견 - 스낵) 우리나라 김, 아시아 표준이 됨.(세계 최초 해조류 국제규격) 국내 생산 식품 단일품목 수출 1위.(담배, 참치 다음)동북아 전용 해초.(김이 자랄 수 있는 기후 조건) 바다의 반도체 = 김.
2024.08.18 -
[자기객관화] 부자와 가난의 한끝차이
부자는 가능성을 찾고 가난한 사람은 장애물을 찾는다.부자는 투자에 초점을 맞추고 가난한 사람은 지출에 초점을 맞춘다.부자는 성공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부자는 자신보다 못한 사람과 어울린다.부자는 도전과 실패를 긍정적인 것으로 삼고 가난한 사람은 실패를 피하려고 노력한다.부자는 자신의 돈을 통제하고 투자하는 주체이고 가난한 사람은 돈에 의해 통제당하고 소비한다.부자는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계획을 세우고 가난한 사람은 삶을 단기적으로 생각하고 계획없이 산다.부자는 위기를 기회로 바라보고 가난한 사람은 위기를 재앙으로 인식한다.부자는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고 가난한 사람은 안정과 안락을 추구한다.
2024.06.08 -
[터보832] 건물주가 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 된 이유는?
건물주는?1. 건물 그 자체.2. 건물을 사는 재력.대부분 후자를 선망함.100억짜리 건물을 살 때 에쿼티가 30%라면? 일반적으로 부자는 맞음.(서울 가구 중위소득이 월 450만 원)그런데 진짜 선망까지? 숫자에 현혹될 필요가 없음.100억, 200억 건물주.(이자를 못 내서 허덕이는 사람도 많음)그런데 500억, 1,000억은 어나더 레벨임. 불로소득에 대한 열망.건물 투자를 통해 돈을 벌면 꽁이다?1970년대 강남 개발 + 중동 특수.1980년대 3저 호황.건물 투자하거나 땅을 투자하면 불로소득?비판을 하면서도 열차에 탑승하고 싶은 양가감정. 위험자산에 리스크를 안고 투자를 하는 것임.앞으로의 경제 성장률은 낮고 인구는 줄어드니 기울기는 낮아질 것임. 어르신들을 보면 대부분 '땅 부자'임.거기서 제..
2024.06.04 -
[기먼성] 특급호텔 12만 원짜리 망고 빙수 솔직히 이야기
호텔에서 10만 원을 넘나드는 망고 빙수.과연 값어치가 있을까?제주산 애플망고?다른 산 망고와 비교했을 때 진짜 뛰어날까? 국내산 100% 애플 망고 10만 원. 감성? 브랜드값.금액을 알면서도 사 먹으러 오는 것.('브랜딩'이 된 '마케팅')감성값. 좋은 환경에서 퀄리티와 서비스.전체적인 것이 가격에 녹아져 있음. 빙수보다는 '호텔 네임밸류'. '선택'은 소비자가 함.비싸다는 것을 인지하지만 가는 이유는?경험과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임.(브랜드)
2024.06.02 -
[부동산쿨TV] 부동산 투자, 시장에서 끝까지 살아남아야 자산을 늘릴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끝까지 참고 이기는 사람이 '자산'을 잘 끌고 가면서 늘릴 수 있음. 끌고 가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자가진단을 잘해서 형편에 맞는 입지를 골라야 함. 그리고 '시장의 참여자'로서 잘 가야 함. 우리가 어렵다고 시장을 떠나면 안 됨. 시장의 참여자로 있을 때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음. 그 기회를 발견할 수 있도록 '인내'해야 됨. 쉬운 투자, 안전한 투자는 없음. 샀다가 안전한 것이 아니라 관리하고 매도하고 대체재로 사는 모든 과정에 고통이 수반됨.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함. 그 과정을 견뎌야지 '수익'과 '자산'이 '선물'처럼 다가옴.
2023.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