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부동산 PF 터지는데 막을 수 있을까?

2023. 9. 23. 15:22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이자'의 증가가 '원인'.

 - 신용도 ↓ > 이자 ↑

 - 만기 > 연장 > 금리 ↑↓ > 흑자부도 가능성. * 고금리의 영향.

비즈니스 대출의 이자 비용이 너무 올라감.

2~3년 전 설계했던 비즈니스가 무산될 수도 있음.(시드 자체가 큼)

* 막는 동안 더 풀어야 함.(미국은 긴축 중) > 환율 박살.(원화 약세)

ex) 정부의 지급보증 > 금리 낮춤.

* 정부의 부채, 예산 상승 > 해외에서는 '원화' 숏으로 봄.

ex) 1,000억원을 10바퀴 돌림(빌리고 메우고, 레버리지) > 1조 수익.

** 외환 시장을 건드냐 안 건드냐가 문제임.

중국 헝다그룹 > 부채 만기 = 이자 X, 원금 연장 X

달러 표시 채권만 위험.

이자비용 지급 > 3~4배 상승(금리 인상)

자본주의의 꽃. ↔ 레버리지(비용 > 더 큰 규모)

* 비용이 감당되느냐가 관건.

** 고금리면 비용이 올라감 > 디레버리징이 필요.

만기도래 > 원금상환 X > 유지 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