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부동산 PF 터지는데 막을 수 있을까?
2023. 9. 23. 15:22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이자'의 증가가 '원인'.
- 신용도 ↓ > 이자 ↑
- 만기 > 연장 > 금리 ↑↓ > 흑자부도 가능성. * 고금리의 영향.
비즈니스 대출의 이자 비용이 너무 올라감.
2~3년 전 설계했던 비즈니스가 무산될 수도 있음.(시드 자체가 큼)
* 막는 동안 더 풀어야 함.(미국은 긴축 중) > 환율 박살.(원화 약세)
ex) 정부의 지급보증 > 금리 낮춤.
* 정부의 부채, 예산 상승 > 해외에서는 '원화' 숏으로 봄.
ex) 1,000억원을 10바퀴 돌림(빌리고 메우고, 레버리지) > 1조 수익.
** 외환 시장을 건드냐 안 건드냐가 문제임.
중국 헝다그룹 > 부채 만기 = 이자 X, 원금 연장 X
달러 표시 채권만 위험.
이자비용 지급 > 3~4배 상승(금리 인상)
자본주의의 꽃. ↔ 레버리지(비용 > 더 큰 규모)
* 비용이 감당되느냐가 관건.
** 고금리면 비용이 올라감 > 디레버리징이 필요.
만기도래 > 원금상환 X > 유지 X.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코리아 디스카운트, 지주사 문제 (에코프로) (0) | 2023.09.23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시장은 단순하고 직관적이어야합니다 (0) | 2023.09.23 |
[와이스트릿] UN기 후특사가 ‘초가치’를 외치는 이유 << 초가치 >> (0) | 2023.09.23 |
[부동산쿨TV] 부동산투자 실패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0) | 2023.09.23 |
주식 투자, 하락장 대응방법? (테이버 X 김단테 X 돈깡)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