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단테] 약한 악재에도 이토록 요동치는 시장, 무언가 놓친 큰 그림이 있다?
2023. 9. 22. 12:4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FOMC 결과)
새로운 전망과 발언 : 차입 비용 상승에 대한 단기적인 완화책이 없음을 시사.
중립금리 : 연준이 생각하는 일종의 기준선.
(경기를 너무 과열하지도 망치지도 않는 적당한 선)
'중립금리 더 높을 수도 있다!' > 시장이 걱정.
'경기 연착륙가 시나리오가 아니다!'
WSJ는 중립금리 발언에 큰 무게를 둔다고 의견 제시.
'IPO(단기적 유동성)' 보다 낮은 가격 > 주식 시장이 식고 있다!
노동 시장이 강하니까 긴축을 한다? > 노동 시장 지표가 좋음(실업자 적음.)
* 노동시장이 강하면 인플레이션이 크게 올 수 있음.(임금 상승)
자동차 노조 파업도 비용 증가에 인플레이션 압박을 줌.
시장이 오버하나?
작은 악재도 큰 악재로 받아들이는 시장으로 바뀌고 있음.
가격의 움직임이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선행하나?(스마트 머니)
과거 데이터를 보면 연준도 그렇게 예측을 잘 맞히지 못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병찬의 부자병법] 부동산, 주식, 코인 공부보다 중요한 것 (0) | 2023.09.22 |
---|---|
[찰리 멍거] '워렌버핏의 오른 팔' 멍거, 부동산 사업으로 처음 돈을 벌다 (0) | 2023.09.22 |
[설명왕_테이버] 채권 시장이 흔들린다? 죽음의 소용돌이? (0) | 2023.09.22 |
[김작가TV] '가계 부채 총량'으로만 이야기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부룡) (0) | 2023.09.22 |
[할투] 퀀트 주자자의 접근 방식은? (장기투자와 다른 점)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