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투] 퀀트 주자자의 접근 방식은? (장기투자와 다른 점)
2023. 9. 22. 10:39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일종 종목을 사서 그 종목을 5, 10, 20년 보유는 안 함.
쓰는 전략을 5,10,20년 활용하는 경우는 많음.
전략 A 라면 심플하게 저 PER + 고 영업이익 성장률.
지금 분기에 맞는 기업들 20개를 찾아서 3개월 투자하고
3개월 후에는 그런 기업들이 바뀌어져 있음.
그러면 그것들을 팔고 지표가 좋은 기업들로 갈아타면 됨.
또 3개월 기다리고 또 바꾸고 반복.
(장기 보유가 아닌 전략을 꾸준하게 반복)
장기 적립식으로 투자하면 자산이 '우상향'한다는 믿음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자산은 존재하지 않음.
장기투자를 많이 하는 대상은 '지수 투자'임.
그런데 지수는 계속 횡보하는 구간이 존재함.
(수익이 안 붙는 구간 존재)
고평가 구간에 들어가면 기업들이 잘되는데도 불구하고
고평가 구간이 해소되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임.
. 저평가된 자산은 언젠가 사람들이 붙어서 고평가 영역으로 가게 되어있음.
주가 지수에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꼭 PER, PBR을 확인하고
너무 높지 않을 때만 사야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왕_테이버] 채권 시장이 흔들린다? 죽음의 소용돌이? (0) | 2023.09.22 |
---|---|
[김작가TV] '가계 부채 총량'으로만 이야기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부룡) (0) | 2023.09.22 |
[설명왕_테이버] 쿠팡 투자 아이디어 (로켓배송, 쿠팡플레이 등) (0) | 2023.09.21 |
[박병찬의 부자병법] 부동산 투자, 가계부채가 걱정? (0) | 2023.09.21 |
[테이버] 풋/콜 옵션 매수 매도? (0) | 2023.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