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로보틱스? 로봇 산업 투자전 알아야할 포인트

2023. 8. 3. 18:17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10억 버는 회사가 시총이 2조?

핵심은 엄청 '비쌈'.

삼성전자는 지분 옵션을 2만 원에 가지고 있음.

(지금 주가 10만 원 상회)

그런데 이벤트가 있음.

1조짜리 두산로보틱스 상장 이슈?(언제 될지 모름)

* 적정기업가치평가, 실사 등에서 시간 소요.

'2차 전지' 수급(MSCI, 숏커버) 분산 > AI/로봇(소외주로 빠졌었음).

'

로봇의 특징은? '첨단' 제조업임.

한국, 일본, 독일, 미국이 잘함.

로봇과 2차전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일본이 참여했는지.

로봇 관련 부품 많이 만들고 수출하는 회사가 '일본'임.

로봇이 2차전지? 반도체 소부장?

일본의 기술을 국산화로 해야 함.

일본이 상당한 경쟁자임.

 

2차 전지에 비해 '실적'이 떨어지고 아직은 '테마'임.

'장기 투자'에는 아직임.

 

수소도 신사업?

미국, 유럽, 중국.(세계 3대 시장)

 

'감속기'란? 로봇 산업에서 비용 기준으로 30~40%임.

로봇 업계의 '양극재'임.

로봇이 움직일 때 속도 조절하는 S/W, 핵심 관절.

일본과 경쟁하는 기술을 보유한 '기업' 위주로 공부해야 함.

 

'공장 자동화'에는 대기업 그룹사가 '내재화'를 할 것임.

(수직 계열화) - 주요 부품을 납품하는 기업들이 성장할 것임.

 

매매 게임으로 접근하는 것은 괜찮은데 로봇 산업에 대해서는 '큰 그림'을 그려가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