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주식 VS 채권, 수익률 비교하면서 투자하기
2023. 8. 4. 10:14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재무부 장기채권 발행.
YCC 관련.
채권시장은 장기채가 자꾸 빠지는 중.
빌 애크먼은 숏 포지션.
워런 버핏은 롱 포지션.
2년물이 4.8%, 1년물이 5.4%면 살만한다는 의견.
장기채권 금리가 솟으면 주가가 조정을 받는다?
주식 VS 채권.
주식은 미래를 모름.
채권은 결정되어 있음.(확정 수익, Fixed Income) - 저금리 구간에서는?
고금리 시장에서는 10년물이 2% > 4.2%로 감.
채권이 2% 일 때는 PER 25~30배(원금 손실 리스크 포함)에 사도 됨.
채권이 4.2% 일 때는 per 15~18배.
* PER(1/PER = 수익률) : 프리미엄 밸류.
주식의 가격 자체가 내려가야 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됨.
버블이 엄청 터지지 않는 이상 주식은 떨어지면
받쳐줄 '돈'이 넘쳐남.
* 부도나면 정부에서 돈을 더 풀 것임.
[그림]
기준 금리가 떨어진다?
* 급격히 떨어지면 박살, 계단식으로 떨어지면 괜찮.
경제, 산업의 사이클이 다운 사이클이 오면 떨어진다는 것임.
인플레이션이 다 끝나고 바닥 다지면 또 올라감.(2027~2028년)
* 주식 투자하는 사람은 짧게도 길게도 봐야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투] 저점 매수 & 고점 매도는 틀렸어요 (터틀 트레이딩, 아이언 킴) (0) | 2023.08.04 |
---|---|
[설명왕_테이버] '보험 회사'가 투자를 잘해야하는 이유 (0) | 2023.08.04 |
[설명왕_테이버]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로보틱스? 로봇 산업 투자전 알아야할 포인트 (0) | 2023.08.03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은행주 투자 포인트 (0) | 2023.08.03 |
[설명왕_테이버] '배당 기준'으로 '목표주가' 산정하는 방법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