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주가가 빠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개인/기관/정책)
2023. 8. 2. 22:10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주가가 빠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 개인 투자자는 우울해짐.
> 주식 하락 > 회사가치 하락 > '레버리지' 붕괴.
ex) 주식담보대출, 불황 사태.
기업 가치를 기준으로 레버리지를 일으킨 경우?
신용도가 떨어짐 > 이자율 상승.(파산하는 곳들이 늘어남.)
* 데스 스파이럴(죽음의 소용돌이) - 현금이 많은 기업은 문제가 없음.
나스닥이 빠지는 것? 코스닥이 빠지는 것?
지금 월가의 뷰는 '금리'가 올라가 있으면 '실적'이 박살 날 것이라고 보고 있음.
('헷징'을 걸고 있음.)
선물, 옵션, 채권 ↔ 현금 비율 최대(6%)
* 고금리.
기관은 주가가 떨어져도 '헷징'을 걸고 있음.(금융기법의 발달)
우리가 상상하는 최악은 '정부'가 막아줄 것임.
과거에는 최단기간 1년 반~2년 반동안 금리를 안 바꿨음.
8배속으로 당기면? 6개월.
코로나 때 올려 세운 것이 8배속 양적완화임.
금리 인상 속도도 8배속임.
'이 상황에서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임.
개인 투자자들도 똑똑해져서 '패닉셀'이 나오지 않음.
ㅇ 분할 매수 : 1. 인플레 + 2. 금리 인상 + 3. 박살 > 돈의 가치 하락 > 주가 '레벨업'.
박살나는 과정에서 죽는 종목은 죽음.
* 돈을 벌어서, 아껴서 물을 타야 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쿨TV] 부동산 투자, '입주'와 '이주수요'를 노리자! (0) | 2023.08.02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매수할 때의 기준을 세워야합니다 (0) | 2023.08.02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알고리즘 매매가 점점 강화된다면? (0) | 2023.08.02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BOJ vs Wall.st, 왜 전쟁을 시작했을까? (0) | 2023.08.02 |
[지식한입] 우리나라에 '구직 단념자'가 많은 이유 (다양성과 창의성)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