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2022년의 하락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2023. 8. 1. 22:51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지주사, 증권사 > '상승장' 막판에 오름.

스펙(페이퍼 컴퍼니) > 투기 경고.

우선수 > 단타장.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LG엔솔, 현대차, 네이버 애매함.

포스코 홀딩스 배당 2% > 애매함.

그나마 남아있는 것이? 셀트/삼바??

은행/통신(배당 7%)??

게임/로봇/AI/엔터??

다들 '애매'함.

 

살 것이 없으니까 돌아가면서 오르는 것임.

한국장의 문제로 박살 나나?

미국장이 살아있으면 조금 더 휘핑한 장이 됨.

개잡주가 미쳐 날뛰는 장 > 그러면서 개박살.(미국장이 밀리면서)

** 현금 비중 늘려서 데이트레이딩

국제 유가가 계속 올라가고 있음.(200일선을 뚫음)

 

1) 애플 실적(미국외 실적은 안 좋을 것임.) - 8.3.

2) 고유가에 의한 인플레이션 반등(인플레이션 못 잡음) - 8.10.

- 유럽의 경기 반등 / 중국 추가로 돈 푼다는 썰 > 유가 반등 이슈.

3) 8월에는 애플/엔비디아/아마존/유통주 실적 + 인플레이션 데이터.

4) 기술적 분석에서 S&P500이 역사상 신고가 쓰기 5% 전.

5) 미국 시장 기준, 풋 옵션 호가가 너무 얇음 > 다들 상승만 외치고 있음.

6) 지난주 기준, 물가연동채권 매수(TIP)가 늘어나고 있음 > 인플레이션 '반등'에 베팅.

7) 유가가 계속 반등주면 8월 CPI 애매 > 9월 CPI 반등 > 10월 CPI 반등 > 11월 금리 인상.

 

2021년 봄~여름(수급 단타장) > 2022년 봄 폭락.

 

지금은 인플레이션이 떨어지면서 반등하고 실적이 받쳐주고 있음.(미국)

지수가 -10% 이상 빠질 수도 있음.

폭락장, 하락장, 조정장을 피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