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한입] 서울 집값이 비싸다고? 홍콩 집값 알아보자

2023. 7. 15. 19:21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공간의 빈곤.

사회초년생들이 임대료가 감당이 안돼서 몰리고 있음.

6~7평.

불법개조를 해서 1개를 30개로 쪼갬.

2~3평.

침대 하나 있는 방도 많음.

0~1평대.

그런데 임대료가 비쌈.

층으로 쪼갠 방도 있음.

누워만 있어야함.(관집)

집주인 입장에서도 집 1 채보다 쪼개서 주는 것이 이득임.

노숙하는 사람도 많음.(홍콩 맥도널드)

정부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음.

신청하면 6~10년이 걸림.

소득이 높은 전문직도 마찬가지임.

작은 오피스텔이나 원룸.

셰어 하우스도 많음.

우리나라는 25~34평이 인기 있는데 홍콩은 15평이 흔함.

그런데 평당 1억임.

세계에서 가장 좁고 빽빽한 도시임.

중심도시로 가면 장관임.

아시아의 자본이 집중된 글로벌 도시.

'빈부격차'가 극심함.

상가 임대료도 가장 높음.

밤에도 유동인구가 많음.

주차칸도 비쌈.

도로 건설에도 한계가 있음.

정부가 자동차를 못 사게 시작해 버림.

'도로'는 부자들의 전유율.

자동차 등록대수가 인구의 10%도 안됨.(우리나라 50%)

나머지는 대중교통.

공간의 빈부격차.

전 세계에서 가장 부자가 많은 곳 중 하나가 '홍콩'.

홍콩에서 제일 잘 나가는 가문들이 부동산으로 시작함.

집이 가정이 아니라 자본의 소유가 되었음.

홍콩이 서울보다 인구밀도가 적음.

홍콩이 서울보다 면적은 큰데 가능한 면적은 얼마 안 됨.

인구는 얼마 안돼도 '돈'은 엄청 많음.

공급 문제.

산지가 많음.

이미 부동산 개발이 거의 다 됨.

그리고 개발하고 바로 풀지 않음.

토지의 99%가 정부 소유임.

사용권만 장기 임대를 받음.

단, 건물에 대해서는 소유권을 가짐.

정부가 토지 공급을 제한하고 있음.

이게 집값이 오르는 원인 중 하나임.

공급은 사회주의.

수요는 자본주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계속해서 부족해버림.

정부가 땅장사로 먹고살고 있기 때문임.

나라의 위기가 와서 공급을 억제해 버림.

2010년에는 중국이 GDP 2등을 먹음.

그리고 홍콩과 관련이 있음.

홍콩이 중국의 출입구임.

홍콩은 위기를 넘기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소득이 늘어가고 부동산 수요가 늘어남.(투기 수요)

홍콩은 부자 동네에 한정해서 살기가 너무 좋음.

임금이 높으니 전문직이 많이 오고 자본 친화적이어서 규제가 거의 없음.

치안, 의료, 교육 등 거주의 질이 좋음.

부자들의 구매력이 홍콩의 집의 가격을 올려왔음.

홍콩 달러 추이.(페그제)

기축 통화인 달러가 홍콩 달러를 보증해 줌.

외국인 투자자가 유치되고 경제 성장의 비결 중 하나임.

금융위기(2008년) 이후 '저금리'를 따라갔음.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사는 사람이 많아지고 수요가

증가하고 자본이 유입되기 시작하였음.

그러면서 집값이 어마어마하게 오름.

홍콩은 문제가 금리를 마음대로 올리지 못함.

그래서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지 못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