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왕_테이버] 미국 고용이 왜 박살나야할까요?
2023. 7. 15. 17:1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미국 연속 실업수당청구건수.
미국의 경기가 좋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안 꺾일 것을 걱정하고 있음.
(끈적끈적한 물가에 대해서 걱정)
CPI, 에너지, 서비스 물가, 고용 등.
연준의 착각 : 경기가 좋다고 생각내서 금리를 올렸는데 박살이 나면?
경기 하락 / 고용 상승 : 빅테크 기업이 해고를 하는데 왜 고용이 상승할까?
* 투잡(중복 카운팅) : 힘든 사람이니까 투잡 뛰는 것임.
** 실업률(목표 4.5~5%) : 정말 일을 하고 싶은데도 안 구해지는 것.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현재 해고자 숫자.
(힘들어서 이직 or 여전히 고용시장 강세)
IT 감원 > 서비스직 증원.(ex) 은행)
인플레가 너무 높아서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니까 인플레가 꺾이긴 함.
그런데 일시적 일지 다시 오를지 계속 내릴지는 '시간'이 필요함.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1~2개월짜리 데이터로 판단할 수가 없음.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라도 소비가 늘어나는 이유? 그간 풀었돈 돈의 저축이 많아서.
금리를 천천히 올리는 이유?
시간을 두고 반응을 봐야 하는데 급격하게 올리면 줄도산이 나니까.
(여러 가지 변수를 보면서 적정 수준으로 올릴 것임. - 영점 조절)
그런데 '고용 데이터'가 진짜일까?
고금리 = 저축 + (현금 부자)
고금리 = 이자 + (현실)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한입] 서울 집값이 비싸다고? 홍콩 집값 알아보자 (0) | 2023.07.15 |
---|---|
[삼프로TV] 투자 환경이 바뀌었다! 주식 투자 어떻게? (하워드 막스) (0) | 2023.07.15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 성공하고 싶다면 '잃을 확률'을 보세요 (0) | 2023.07.15 |
[구만수] 핵심 입지를 팔고 외곽 신축으로 간다? (0) | 2023.07.15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얻을 수 있는 기간은?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