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새마을금고 초유의 뱅크런 사태 왜 일어났나?

2023. 7. 11. 23:55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2019년 부동산 활황기 도래.

부동산 시장에서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금융사들(성과급이 몇억)

새마을금고도 적극적으로 시장 합류.

> 건설, 부동산 대출액 증가.

(시중은행이 커버할 수 없는 마이너 한 사업)

 

새마을금고 전체 대출 : 약 111조 원.

이중 부동산 관련 대출 : 약 56조 원.

크게 늘렸는데 '기초 자산'이 안 좋아짐.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 시작.

부동산신탁회사가 책임 준공 의무를 지는 상품.

신탁 회사가 자금 충당 및 책임 준공을 확약.

시공사가 부도 또는 포기 시에도 신탁사가 사업 마무리.

> 신탁사의 신용도가 플러 된 대출 상품.

 

2020년 말 16조 원.

 

2022년 이후 하락세.

갑작스러운 기초 자산 가격의 하락.

 

건설공사비 지수.

2019년 이후 30% 이상 상승.(현장은 50% 오름.)

비용은 커지니 남는 것은 없어짐.

 

기준금리 인상으로 비용 또 증가.

 

차갑게 식어버린 부동산 금융 시장.

건설사들의 생존 게임이 시작함.

 

상승장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었는데 하락장 전환된 것임.

내 주식 계좌의 상황.

부동산 금융 노출 금액 증가.

 

보통 상승장이 오면 일어나는 일.

더 많기 벌기 위해 '레버리지' 상품 투자가 급증.

'위험관리'보다는 '수익률'을 우선시함.

사람들이 바보여서 위험관리를 하는 것이 아님.

하락을 대비해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