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월드] 새마을금고 초유의 뱅크런 사태 왜 일어났나?
2023. 7. 11. 23:55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2019년 부동산 활황기 도래.
부동산 시장에서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금융사들(성과급이 몇억)
새마을금고도 적극적으로 시장 합류.
> 건설, 부동산 대출액 증가.
(시중은행이 커버할 수 없는 마이너 한 사업)
새마을금고 전체 대출 : 약 111조 원.
이중 부동산 관련 대출 : 약 56조 원.
크게 늘렸는데 '기초 자산'이 안 좋아짐.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 시작.
부동산신탁회사가 책임 준공 의무를 지는 상품.
신탁 회사가 자금 충당 및 책임 준공을 확약.
시공사가 부도 또는 포기 시에도 신탁사가 사업 마무리.
> 신탁사의 신용도가 플러 된 대출 상품.
2020년 말 16조 원.
2022년 이후 하락세.
갑작스러운 기초 자산 가격의 하락.
건설공사비 지수.
2019년 이후 30% 이상 상승.(현장은 50% 오름.)
비용은 커지니 남는 것은 없어짐.
기준금리 인상으로 비용 또 증가.
차갑게 식어버린 부동산 금융 시장.
건설사들의 생존 게임이 시작함.
상승장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었는데 하락장 전환된 것임.
내 주식 계좌의 상황.
부동산 금융 노출 금액 증가.
보통 상승장이 오면 일어나는 일.
더 많기 벌기 위해 '레버리지' 상품 투자가 급증.
'위험관리'보다는 '수익률'을 우선시함.
사람들이 바보여서 위험관리를 하는 것이 아님.
하락을 대비해야함.
반응형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부심] K-POP 탈강남 시대, 4대 엔터사가 강남을 떠나는 이유 (0) | 2023.07.12 |
---|---|
[설명왕_테이버] 주식 차트, 이 정도면 알아야합니다 (0) | 2023.07.12 |
[설명왕_테이버] 주식 투자를 하는 이유? 부자가 되고 싶어서 (0) | 2023.07.11 |
[부룡의 부지런TV] 하반기 역전세난, 정부를 이렇게 대응할 것입니다 (0) | 2023.07.11 |
[설명왕_테이버] 미국 주식이 올라가는 원리 (미국만 우상향 하는 이유)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