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13. 19:59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 시스템 1 VS 시스템 2 >
대부분 우리 생활에서는 '시스템 1'만으로 살아가도 되는데
가끔은 '시스템 2'로 살아가야 함.
* 시스템 1 : 생각 없이 그냥 작동.
오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 '시스템 2'임.
그런데 '생각'을 해야 함.
사람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이 '생각'임.(에너지가 들기 때문임.)
주식 투자처럼 심사숙고해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분야에
시스템 1만으로 접근하면 오류가 남.
그리고 그 오류는 '체계적'인 오류임.
직관, 편하게 생각하려다가 오류에 빠짐.
[퀴즈]
야구 방망이와 야구공 합해서 11만 원.
야구 방망이가 공보다 10만 원 비쌈.
그럼 공은 얼마? 1만원이 아니고
정답은 공이 5,000만 원임.
속는 이유는 '시스템 2'를 가동하지 않았기 때문임.
똑똑한 사람들조차도 '시스템 2'를 가동하지 않음.
똑똑한 것과 합리적인 것은 다름.
< 휴리스틱(어림짐작) >
우리말로 번역하면 '어림짐작'.
시스템 1이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휴리스틱'을 사용함.
우리가 체계적으로 편향된 행동을 하게 됨.
가장 대표적인 것이 '기준점'과 '조정'임.
처음에 접한 값이 임의적인 수치라도 '닻 내림'을 해버림.
(전고점, 전저점을 생각해서 쉽게 사고팔지를 못해버림.)
'회상 용이성' : 쉽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ex) 최신 경향)
(최근 일이나 뇌리에 박힌 일)
어떤 판단을 내릴 때 머릿속에서 쉽게 떠오르는 것을 가지고 행동함.
최근에 비행기 사고가 나면 비행기 타기를 꺼려함.
주식 투자를 할 때 가장 최근 좋았던 '주식'에 투자를 함.
'대표성' : 대표적인 이미지.(정형화된 생각)
잘생기면 똑똑해 보일 것이다!
학벌이 좋으면 사업도 잘할 것이다!
라고 생각하는 것.
어떤 '부분'만을 보고 '전체'를 판단해 버리는 것.
경제와 주식 시장이 어느 정도 상관관계는 있지만
생각만큼 높지는 않음.(주가는 선반영함.)
삼성전가가 오르면 지수는 오르기 마련임.
지수가 오르면 주식 시장이 좋다?
(삼성전자만 오르면 주식 시장이 오른 것과 같은 것임.)
우량주와 투자하기 좋은 가격과는 다름.
< 평균 회귀 >
잘못했을 때 벌을 주기보다 칭찬했을 때 효과적이다?
잘해줬을 때 칭찬을 해줬더니 성과가 나빠졌다?
평균 회귀가 왜 일어날까?
(장기적으로 보면 일어남.)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얻는 결과가 '실력'만으로 얻을 수 있지 않기 때문임.
(운 + 실력.)
살아가면서 성취하는 대부분의 일든은 실력하고 운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가 많음.
< 전망 이론 >
호기심을 끌기 위해서 네이밍을 한 것임.
'손실 회피'가 전망 이론의 핵심임.
이익을 보았을 때보다 손실을 보았을 때 더 크게 타격을 받음.
'소유 효과' : 가지고 있는 것을 선호함.
어떤 종목을 사게 되면 소유 효과가 발생해서 더 좋은
주식이 있음에도 놓지 못하는 경우가 일어남.
이익이 기대되는 상황에서는 위험 회피를 하는데
손실이 기대되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리스크를 짊.
(손절매를 하지 않음.)
< 틀짜기 >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프레임을 설정해 버리면 빠져나오기가 어려워짐.
생존율 90%, 사망률 10% 표현하는 것이 효과가 다름.
사람들은 주식 투자를 '좁은 프레임'으로 봄.
돈을 잃지 마라!라는 말을 매 순간 손실을 안 봐야지!라고
받아들이면 '좁은 틀짜기'임.
큰 틀에서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함.
포트폴리오 전체에서 수익이 나면 되지 부분이 전부 날 필요는 없음.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부리TV] 지금 주식 들어갈까? 아니면 도망갈까? (0) | 2023.06.13 |
---|---|
[김작가TV] 주식 투자, 오를 것인가? 내릴 것인가? 보다 중요한 것 (강환국) (0) | 2023.06.13 |
[부룡의 부지런TV] 청약/분양권 투자하기 전 꼭 알아야할 5가지 (0) | 2023.06.13 |
[박병찬의 부자병법] 서울에서 한강변이란 집값 결정의 제1원칙입니다 (0) | 2023.06.13 |
[부룡의부지런TV] DSR 완화 = 역전세 끝? 올 하반기에 이렇게 됩니다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