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토크] 열심히 살았는데 결과가 참담할 때

2023. 5. 5. 22:28부자에 대한 공부/성공한 부자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열심히만 산다고 인생이 바뀌지 않음.

한 가지가 더 필요함.

'시스템.'

이럴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일상을 정돈하는 것임.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구분하고 일상을 시스템화시켜야 함.

 

1. 삶의 중심이 되는 일을 생각해라!

열심히 사는데 인생이 안 바뀌는 이유는 '초점'이 없기 때문임.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잘하려고 함.

해야 할 것 같은 일 전부 잘하려고 하니 '에너지'가 분산됨.

하나만 죽도록 해도 될까 말까임.

에너지가 분산되니 진짜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일에는 최선을 다하지 못함.

내 삶의 중심이 될 일을 정해놓고 그 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그건 각자 알아서 정해야 함.

< 이키가이 >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

돈이 되는 것.

세상이 필요로 하는 것.

인간이 보람된 삶을 살기 위해서는 4가지가 포함되어야 함.

'살아야 할 이유'

4가지 요소에 대해 사소한 일이라도 적어야 함.

4가지 원 겹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임.

열심히만 산다고 인생이 바뀌지 않음.

 

2. 집중 시간과 휴식 시간을 구분해라!

중심을 정했다면 그것을 할 '시간'을 빼놓아야 함.

시간을 확보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휴식 시간'임.

인간의 의지력과 집중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임.

집중이란 굉장한 에너지를 요함.

그래서 반드시 '휴식 시간'을 만들어야 함.

또 쉬는 시간에 창의적인 생각이 떠오를 수 있음.

뇌과학적으로 휴식할 때 '이완모드'로 들어가며 창의적으로 감.

'시간'을 '관리'해야 함.

 

3. 공간을 구분하라!

구분이 안되면 다른 일이 눈에 들어옴.

급하진 않지만 중요한 일을 먼저 해야 함.

나만의 '공부방'을 가져야 함.

인근 독서실, 카페 등을 이용해도 됨.

뇌과학 적어도 유리함.

수면을 할 때도 잘 때만 침대에 가야 함.

잠들기 직전에만 가야 함.

이 습관을 들이면 뇌가 '침대에 가면 잔다'라는 패턴을 인식해 버림.

즉, 공간이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는 것임.

 

열심히 해도 인생이 바뀌지 않은 것은 열심히'만'하기 때문임.

'시스템'이 필요함.

 

무엇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느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