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성주TV] 부동산 투자, 지금 서두르지 마세요

2023. 3. 28. 14:55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서울 곳곳에 상승이 나타난다?

반등 타이밍이 나온다? 늦는 것이 아닌가?

제대로 체크해봐야 함.

 

ㅇ 경제와 정책 : 부동산 흐름을 파악.

내수, 유동성, 기준금리.

외적인 분위가 가 좋지 않으면 내적인 분위기도 좋지 않음.

몇몇 곳에서 거래가 된다고 해서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경제'에 대한 부분도 공부해야 됨.

 

ㅇ 서울 곳곳서 상승거래, 반등 타이밍 놓치는 것이 아닌가?

'집값 다시 오를라, 조급해진 무주택자.'

 

ㅇ 부동산 시장 외적 분위기.

-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 유동성 축소 가능성.

- 미국 SVB발 금융위기 증가.

최근 내수 경기 회복도 더디게 나타나고 금리도 인상됨.

그런데 기준 금리 인상 속도가 느려지면 대출 금리 인상폭도 줄어들 것임.

시장이 매우 불안함.

 

ㅇ 부동산 시장 내적 분위기.

- 1월 서울 아파트 하락폭 감소.

소진될 것이 다 소진(급매)되고(1차) '숨 고르기'가 진행되는 중

공급 / 수요 / 거래량 / 매수심리 / 매매평단가.

기본적으로 서울이 움직인다고 했을 때

'거래량'이 움직이고 그 뒤 '매수 심리'가 따라감.

전체적인 '거래량'도 '매수 심리' 모습도 나타나지 않음.

월평균매매 거래량으로 보면 1/3 수준까지만 회복함.(유의미하지 않음.)

- 급매 소진 : 거래량 증가.

'질'적 '양'적, << 양적 증가 >> 월매매 평균 거래량보다 더 증가했느냐?

<< 질적 증가 >> 는 거래가 '저점 거래(급매)'인지 '반등 거래(급매보다 위)'인지 임.

- 호가 상승 : 반등 거래율 소폭 상승.

 호가가 상승되었을 때 '따라잡냐 못 잡냐' (급매 거둬들이기 / 높게 내놓기)

- 매수 관망 및 비수기(4월, 연초 성수기) 진입.

'추격 매수'가 없으면 절단되기 때문에 가격 변화가 없어져버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