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7. 11:36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경기 침체를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경기 침체를 유인한 것임.
용인한 것.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임.
미국 경제를 말하자면 2022년 성장률이 1.6% 임.
2023년 1.0% 추가적으로 하락함.
L자가 아니라 L자 밑으로 떨어짐.
IMF의 전망이고 Fed는 더 혹독하게 봄.
0.2%까지 전망을 함.
물가 상승률은 안 잡힌 상태에서 고물가 기조가
유지되는데 침체를 같이 만나니까 '스태그플레이션'
굉장히 헤어 나오기 힘듦.
그래서 영어로 'spiral'이라고도 함.
소용돌이.
녹록지 않아 지는 것.
고용도 침체되고 물가도 높아짐.
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뿐임.
100원, 200원, 300원 물가는 올라가는데 100%에서 50%가
되어도 둔화가 되는데 가격은 더 높아짐.(절대가격 상승)
그리고 소득은 줄어듦.
명목 소득.(가처분 소득)
그 통장에 찍히는 소득은 늘어나는 것 같은데 평균 350만 원임.(가구당)
이것을 실질소득으로 하면 25만 원 정도 격차가 벌어짐.
사상 처음.
우리나라는 계속 저물가였기 때문에.
그것을 가지고 물건 살 수 있는 규모는 고물가 기조가 나타나니까
같은 소득이라고 해도 살 수 있는 개수가 줄어듦.
가계도 기업도 정부도 가난해지고 있는 상태임.
세금이 덜 걷히니까 그것이 리세션의 모습임.
고용 침체는 곧 명목소득 자체도 떨어트리는 일임.
10명 중 예를 들어서 한 7명이 취업해 있음.
그러면 평균 소득은 10명으로 나누는 것임.
그런데 5명으로 또 주는데? 나누는 건 10명으로 해야 됨.
근데 분자에 있는 벌어들이는 것은 5명임.
그러니까 '평균 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음.
그리고 곧 소비 침체로 이어짐.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작가TV] 대부분 사람들이 주식 투자로 돈 잃는 이유 (최준철) (0) | 2023.03.18 |
---|---|
[김작가TV] 월 1억 버는 전업투자자의 주식 투자 철학 (김정수 전업투자자) (0) | 2023.03.17 |
[김작가TV] 앞으로 큰돈 벌고 싶으면 반드시 '이 주식을' 찾으세요 (박세익) (0) | 2023.03.16 |
[리치] 부자가 되고 싶으면 '이 방법대로만' 꼭 하세요 (이정윤) (0) | 2023.03.16 |
[머니인사이드] 주식 투자에서 잃지 않는 방법 (홍춘욱 박사)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