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룡의 부지런TV] 비규제 된 평택 청약 당첨 아파트 실거주 대신 투자할까요?

2022. 10. 19. 21:23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jj8l0lz-Yyc 

20대 중반이라면 시장 원칙 원리 메커니즘을 알아야 합니다.

실입주 포기하고 월세를 준다?

본인이 월세를 살 것이니까 여유 자금을 만들어서 투자를 한다?

비규제 지역 갭 투자 등.

여기서 의문이 발생합니다.

지금 시장이 상승장이 진행되다가 침체기로 될지 안 될지

모르는 복잡한 시장이 되었습니다.

떨어질 수 있는 리스크.

예전 상승장과 똑같을까? 의 리스크.

상승장의 투자 기술을 분위기가 모르는 장에서 대입하면 안 됩니다.

지금 미리 결정해서 움직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모니터링 후 투자 의사결정을 해도 되죠.

상승장에 들어가면 좋죠.

반대 경우라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서 고민해야 합니다.

상승이냐 하락이냐 조정이냐 모르는 상황입니다.

과거 상승장에 썼던 기술을 사용하면 안 되죠.

하락장에서 비자발적 장기 보유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 시장이 어떻게 되었는지 공부를 해야 합니다.

상승장의 발전기를 돌리는 투자 패턴을 고수하면 안 되죠.

금리 인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장이 흔들리거나 애매할 때는 기다리는 것도 투자입니다.

갭 투자는 침체장 후반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확률을 높이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실거주 집은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장 자체가 금리 인상이라든지 경기 침체를 용인한다는

분위기가 발생하니 영글 매도 물량이 쏟아질 수 있죠.

지금은 공포의 분위기니 매수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어떻게 얼마나 싸게 사냐가 중요합니다.

많이 떨어졌을 때는 -30%였습니다.

그 이하면 전세가 받쳐주죠.

그때면 그 가격에 산 보유 물량이 많아서 그 밑으로 팔지도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