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2. 13:00ㆍ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HM-m5HpyQxg
계속 오를 수는 없습니다.
오르내리고 하죠.
그래서 부동산, 경제 역사 공부가 필요합니다.
가격이 떨어질 때도 있고 오를 때도 있지만 가격은 우상향 합니다.
'전국 주택 가격지수'(1986~2019)을 보아도 알 수 있죠.
역사적 진실입니다.
물론 우상향 평균에 벗어날 때도 있습니다.
제일 좋은 것은 바닥에 사서 고점에 파는 거지만
자칫하다가 고점에 사서 바닥에 팔 수도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하락한 때는 별로 없습니다.
IMF, 참여정부 때 초강도 규제로 20개월 정도 죽었던 것 등등.
이렇게 타이밍은 공부해도 못 맞추는데
공부 안 한 사람이 맞춘다고요?
하락할 때는 더 떨어질까 봐 시지도 못합니다.
수백 년간 가격은 '평균 회귀'를 해왔습니다.
이것을 믿으면 걱정거리가 없죠.
시기는 맞출 수 없으니 '입지' 좋은 거 사두면 문제가 없습니다.
이것을 믿지 않으면 폭락을 믿죠.
'폭락이 되었으면 좋겠다.'일 뿐입니다.
하지만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제일 좋은 것은 인플레이션만큼 꾸준히 올라가는 거죠.
그리고 평균이기 때문에 어떤 것은 인플레이션보다 더 오르고
더 떨어진 것이 존재하는데, 세부적으로는 알파 수익을 거두어야 합니다.
시장 측면에서는 거시 경제, 시장 동향을 파악해야 하고
개별 상품성으로는 '입지'를 보고 평균 초과하는 물건을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화폐 경제 시스템도 알아야 하지만
정책을 운용하는 사람인 '정치인'을 공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치인'은 '표'를 얻으려면 '돈'을 풀 수밖에 없습니다.
'부자에 대한 공부 > 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만수] 다주택자가 지방 소도시 투자하겠다면? (0) | 2022.05.02 |
---|---|
[구만수] 부동산 갭투자 하지마세요 (0) | 2022.05.02 |
[구만수] 부동산 갭투자하기 좋은 시기는 언제일까? (0) | 2022.05.02 |
[구만수] 부동산 시장, 저평가란 없습니다 (0) | 2022.05.02 |
[구만수] 부동산 투자, 지금이 꼭지인가요?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