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단테] 미-중 갈등 또 심화? 증시 하락

2025. 4. 11. 11:28부자에 대한 공부/투자 현인들의 인사이트

반응형

1. 중국과의 무역 전쟁 격화.

2. 앞으로도 시장은 왔다리갔다리할거니까 잠깐 올랐을 때 정리하자는 자금들.

3. 시장은 공포에 빠져있음.

 

트럼프 : 주식시장 하락은 보지 못했는데 중국과의 거래는 성사시키고 싶다!

중국과 잘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양국에게 좋은 결과를 도출할 것!

관세 첫 거래 매우 가까워졌다!

 

베센트 : 10 상승 5 하락은 나쁜 반응이 아니다!

 

미국 → 중국 상호관세 34%.

중국 → 미국 보복관세 34%.

미국 중국 보보복관세 50% 104%.

중국 → 미국 보보보복관세 84%.

미국 → 중국 보보보보복관세 125%.

 

대통령 명령은 이전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던 중국의 소형 패키지에 대한

세금을 더욱 인상하며 테무 및 쉬인과 같은 소매업체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미국 소비자에게 타격을 줄 수도 있음.

 

유치한 싸움을 계속될 것.

투자자들은 정신을 차리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 간의 '식량 전쟁'이 나아지기 전에

아마도 더 악화될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음.

10%의 기본 관세가 큰 타격을 줄 것이며 90일이 순식간에 지나가고 나면 더 높은 관세의 고통

다시 돌아올 수 있으며 중국은 강력하게 반격하고 있음.

 

관세 발효는 이제부터니 지난 물가에 대한 의미 평가절하.

 

변동이 큰 박스권 전망 유지?

1. 관세 유예 90일 : 2018년 12월, 트럼프는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통해 관셰 유예를 발표한 적이 있음.

2. 베센트(온건파) 등장 : 1기 때도 초기엔 강경파인 라이트라이저가 주도했지만 협상으로 가면서

온건파민 므누신 재무장관이 주도권을 잡음.

ex) (2018년 10월) 파월 '중립금리'에서 아직 멀었다!로 하락.

(2019년 1월) 12월, G20 회의 미-중 관세 90일 유예로 증가.

(2019년 4월) 5월 트럼프, 미중 합의 번복, 추가 관세 재개로 하락.

6월 G20 시진핑-트럼프 무역협상 재개 및 관세 연기로 상승.

8월 트럼프 $3,000억에 10% 추가 관세로 하락.

 

트럼프가 관세 발효 몇시간만에 물러선 이유.

트럼프가 자신의 무역 고문 팀 내에서 베센트에게 더 많은 권한을 부여.

많은 국가들이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중.

주식 시장과 관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기업 리더들의 행렬에 영향을 받음.

트럼프는 자신의 무역 정책이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음을 사적으로 인정했지만

대공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싶다고 말함.

 

이것은 정상적인 경기 침체 상황이 아닙니다!

우리는 통화 질서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달러화가 약해지고 미국 국채 가격 폭락하는 상황)

 

반응형